|
[스포츠조선 권인하 기자]시속 100마일(약 161㎞)이 넘는 광속구가 난무하는 메이저리그에서 시속 100㎞대 초슬로우 볼을 보란듯이 던진다.
1회초 호세 라미레즈에게 솔로포를 맞았고, 5회초 타일러 프리먼에게 솔로포 등 2개의 홈런을 허용한 게 아쉬웠지만 안정적으로 이닝을 끌어갔다. 5회까지 투구수가 60개에 그쳐 올시즌 최다이닝 투구에 대한 기대감이 높았지만 연이은 수비실책으로 무사 만루의 위기를 맞자 가르시아로 교체됐다. 가르시아가 후속 타자에 밀어내기 볼넷을 허용하는 바람에 류현진의 실점이 1점(비자책) 더 늘었다
경기후 찬사가 더해졌다. 토론토 존 슈나이더 감독은 "굉장하다. 류현진은 엄청나게 효율적으로 던지고 제구력이 대단하다. 타자가 어떻게 나올 것인지 뛰어난 감각을 가지고 있다. 스피드 조절 능력은 리그에서 가장 뛰어나다"고 했다.
MLB 분석가인 롭 프리드먼은 히메니스 삼진 장면을 올리며 "아름다운 104㎞ 커브다. 올해 빅리그 선발 투수가 헛스윙을 유도한 공 중 가장 느리다. 류현진 피칭때는 '얼마나 느린지'를 보게 된다"며 놀라움을 표했다.
이날 류현진은 최고 146㎞의 직구(29개)와 체인지업(19개), 커브(13개), 커터(9개) 등 자신의 무기를 다양하게 구사했다. 눈에 띄는 점은 구종들의 구속 차다. 시속 140㎞대의 직구와 130㎞대의 커터, 120㎞대의 체인지업에 110㎞를 밑도는 커브까지.
특히 올해 커브의 구속을 더 낮추면서 낙차를 더 키웠다. 예전 류현진의 커브는 110㎞ 중반에서 120㎞ 중반까지 형성됐었다. 지금은 이보다 10㎞ 이상 더 구속을 다운시킨 셈이다. 체인지업과의 구속차이를 더 키웠다. 타자들은 타이밍 잡기가 더 힘들다. 류현진의 체인지업은 직구와 궤적이 흡사하다. 커브는 궤적이 좀더 높지만 휘두르는 팔스윙이 구속에 비해 매우 빠르다. 타자는 좀더 빠른 볼이라 착각하기 쉽다. 타이밍 잡기가 어렵다.
아예 구속을 더 떨어뜨렸기 때문에 타석에 선 타자들은 호흡이 흔들린다. 초스피드에 올인하는 메이저리그 전체를 통틀어도 이런 유형은 보기 드물다. 희소성이 있다.
30대 중반인 류현진이 구속을 더 끌어올리긴 쉽지 않다. 패턴 다양화와 상대의 심리를 역으로 파고드는 정밀함, 류현진의 새무기다.
권인하 기자 indyk@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