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티켓 10배 비싸게 팔아 3억 벌었다" 이게 사실이라니, 유료 멤버십까지 악용했다

기사입력 2025-10-22 01:05


"야구 티켓 10배 비싸게 팔아 3억 벌었다" 이게 사실이라니, 유료 멤…
19일 대전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삼성과 한화의 PO 2차전. 3루 관중석 삼성을 응원하는 야구팬들과 1루 한화를 응원하는 야구팬들(아래). 대전=허상욱 기자wook@sportschosun.com/2025.10.19/

[스포츠조선 나유리 기자]'내 티켓이 없는 이유가 있었네.'

불법 '매크로' 프로그램을 사용해 프로야구 인기 좌석 티켓을 선점한 후, 몇 배의 차익을 내며 되팔아온 일당이 검거됐다. 대전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21일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해 프로야구 티켓을 대거 예매한뒤 암표로 팔아치운 40대와 매크로 프로그램을 제작해 유포한 20대 등 3명을 정보통신망법·국민체육진흥법 위반 등 혐의로 검거했다고 밝혔다.

40대 A씨는 "생활비 등을 벌기 위해서 매크로 프로그램을 다운 받았다"고 경찰에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2023년 3월부터 올해 7월까지 PC방에서 매크로 프로그램을 사용해 예매 인원 및 좌석 좌표를 자동 입력하는 방식으로 5254회에 걸쳐 1만881장의 프로야구 티켓을 암표로 판매했다. A씨의 전체 거래 금액이 5억7000만원 상당인데, 이중 순이익이 3억1200여만원에 달한다는 게 경찰 집계다. A씨는 정가 4만원 상당의 티켓을 10배 비싼 40만원에 파는 등 10~15배 비싸게 티켓값을 책정해 판매했다. 정상적인 '리세일'이라 보기 힘든 수준이다. 특히 올해 3월 22일에는 하루에만 야구 티켓 128장을 팔아 1527만원을 챙겼다. 3월 22일은 전국 5개 구장에서 KBO리그 정규 시즌 개막전이 열린 날이다. A씨는 서울, 경기 일대 PC방에서 컴퓨터 여러대를 동시에 켜놓고 매크로 프로그램을 돌리면서 티켓을 예매하는 수법을 사용했고, 결국 경찰에 현행범 체포됐다.


"야구 티켓 10배 비싸게 팔아 3억 벌었다" 이게 사실이라니, 유료 멤…
25일 대구 라이온즈파크에서 열린 삼성 라이온즈와 키움 히어로즈 경기. 프로야구 최초 160만 관중을 돌파한 삼성 라이온즈. 대구=박재만 기자 pjm@sportschosun.com/2025.09.25/
이와 별개로 이 불법 매크로 프로그램을 개발한 20대 B씨와 C씨도 검거됐다. 이들은 단순 예매 기능 뿐만 아니라 취소표 자동 구매, 다수의 예매 사이트에 적용할 수 있는 기능 등을 추가한 프로그램을 돈을 받고 팔았다. 판매 가격은 4~12만원 수준이었다. 모두 973명에게 1488회에 걸쳐 이 프로그램을 판매했고, 약 8600만원의 수익을 올린 것으로 조사됐다.

B씨와 C씨가 개발한 프로그램을 유료로 구매한 A씨 같은 이들이 프로야구 티켓을 예매해 암표로 판매한 구체적 실체가 드러난 셈이다. 특히 A씨는 구단별 선예매권을 활용하기 위해, 유료 멤버십에 가입해 판매하려고 하는 좌석들을 미리 선점하는 등 예측 이상의 행위를 해왔다. 구단들이 운영 중인 유료 멤버십 선예매 제도가 결국 암표 판매에 악용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야구 티켓 10배 비싸게 팔아 3억 벌었다" 이게 사실이라니, 유료 멤…
23일 잠실야구장에서 열린 KT와 두산의 경기, 관중석을 채운 야구팬들이 응원전을 펼치고 있다. KBO리그는 이날 2년 연속 1천만 관중 입장 기록을 달성했다. 잠실=허상욱 기자wook@sportschosun.com/2025.08.23/
지난해 사상 최초 1000만 관중을 돌파한 KBO리그. 올해는 작년 기록까지 뛰어넘어 사상 최다 1231만2519명의 관중을 불러모았다. 홈 관중 1위를 기록한 삼성 라이온즈(164만)나, 올해 신구장 개장 효과를 톡톡히 본 한화 이글스(123만1840명) 등은 경기당 좌석 점유율이 95%를 넘길 정도다. 이는 궂은 날씨나 평일 등 아주 극소수의 경기를 제외하면 거의 매일 매진에 가까운 관중이 모인다고 봐야한다.

그러다보니 당연히 티켓 예매는 전쟁이다. 정규 시즌 평일 경기조차도 올 시즌 내내 예매 전쟁을 치러야 했다. 포스트시즌 티켓 예매의 경우 더욱 심각하다. 티켓 예매 오픈과 동시에 수만명, 수십만명이 몰리다보니 좌석 구경도 못하고 실패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직관'을 간절히 원하는 팬들은 결국 리세일 사이트에서 티켓을 구매하거나, 중고 사이트를 통한 거래에 유혹을 느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체감 인기가 높다는 것은 곧 실수요가 많다는 뜻이다.


"야구 티켓 10배 비싸게 팔아 3억 벌었다" 이게 사실이라니, 유료 멤…
3일 서울 고척스카이돔에서 열린 롯데-키움전. 3루쪽 관중석을 가득 메운 롯데 팬들이 뜨겁게 응원하고 있다. 고척=정재근 기자 cjg@sportschosun.com/2025.8.3/
매크로 프로그램을 활용한 암표상들은 결국 프로야구에 쏠리는 관심과 인기를 개인 수익 벌이의 창구로 이용했다. 일부 암표상들이 검거됐지만, 여전히 과도한 되팔기, 가격 부풀리기 등 눈쌀을 찌푸리게 만드는 장면을 여러 온라인 사이트에서 목격할 수 있다. KBO와 10개 구단은 암표 매매를 범죄 행위로 보고 구단 차원의 단속을 강화하려고 하지만, 현실적 한계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나유리 기자 youll@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