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야자키(일본)=스포츠조선 김영록 기자]2025년 1호 FA 계약, 가능할까?
타깃이 좁혀지면서 '최고 유격수' 박찬호에 대한 관심이 더욱 뜨거워지고 있다.
KIA 타이거즈는 팀내에서 키운 프랜차이즈스타이기도 한 박찬호를 눌러앉힐 수 있을까.
|
경쟁이 과열되면서 금액이 점점 치솟는 분위기. 이미 지난해 한화 이글스의 심우준 영입(4년 50억)으로 인해 박찬호 계약의 출발선은 암묵적으로 정해졌다. 위로 어디까지 올라가느냐가 관건이다.
경쟁 구도도 몸값을 올리기 충분하다.
원 소속팀 KIA는 박찬호를 결코 놓치고 싶지 않다. 하지만 소속팀 선수에 대해 잘 아는 만큼 더 냉철한 평가기준을 들이대는 게 원 소속팀의 특징이다. 또한 현재 3루수로 뛰고 있지만, 유격수 여지를 남겨둔 '2024 MVP' 김도영에 대한 미련도 여전히 남아있다.
때문에 현 시점에서 박찬호 영입경쟁은 KT 위즈와 롯데 자이언츠 이파전 구도로 좁혀지는 모양새다.
KT는 올해 엄상백-심우준이 빠진 공백을 끝내 메우지 못하고 올해 가을야구에서 탈락했다. 노장 김상수, 유망주 권동진 정준원 등을 기용해봤지만 역부족이었다.
강백호 영입시 심우준 공백 메우기를 넘어 업그레이드 된 리그 톱클래스의 테이블세터까지 덤으로 얻게 된다. 강백호, 로하스 등을 리드오프로 기용했던 이강철 KT 감독에겐 가뭄의 단비다.
|
과거 외국인 선수 마차도 이후 여전히 유격수 공백이 심각하다. 이학주 박승욱 전민재 등 타팀에서 수혈한 선수들로 시즌을 꾸려왔지만, 지난 시즌 가을야구 실패에서 드러났듯 한계가 뚜렷했다.
만약 박찬호를 영입하고, 전민재를 내야 멀티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면 공수 양면에서 한층 더 안정된 전력을 꾸릴 수 있다. 롯데 역시 KT와 마찬가지로 박찬호 영입시 테이블세터나 라인업을 한층 더 역동적으로 가져갈 수 있다.
두산 베어스 역시 김재호 은퇴 이후 유격수 고민이 있었지만, 올해 후반기 군복무를 마치고 돌아온 안재석이 타율 3할1푼9리, OPS 0.911로 뜨거운 활약을 펼쳤다. 키워야 할 내야 유망주도 수두록 하다. 두산의 시선은 다른 포지션을 향할 가능성이 높다.
|
키움은 김휘집 신준우 이재상 고영우 어준서 전태현 등 다수의 내야 유망주를 기용했지만, '스페셜 원'을 찾지 못했다. 당장 송성문의 미국 진출이 성사될 경우 샐러리캡 총액이 하한선 아래로 떨어지는 팀이 키움이다. 다만 팀 사정상 박찬호의 몸값이 예상을 뛰어넘을 경우 입찰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역대 FA 유격수 계약 총액 1위는 2024년 LG 오지환(6년 124억원)이다. 그 뒤를 심우준 김재호 노진혁(4년 50억원)이 잇고 있다.
역대 유격수 2위 몸값은 확실시 된다. 만약 계약기간이 4+@로 늘어난다면, 박찬호의 몸값 총액은 오지환처럼 100억원을 넘어설 거란 예상까지 나오고 있다.
미야자키(휴우가)=김영록기자 lunarfly@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