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나유리 기자]초반 잠잠하더니, 충격적 이변이 계속 일어나는 KBO리그 스토브리그다. 이번에는 김재환이 충격을 안겼다.
예상보다 느리게 시작됐던 FA 시장. 박찬호의 두산 베어스 이적으로 포문을 열었다. 당초 두산은 박찬호의 이적 가능성이 있는 최유력 구단으로 꼽히지 않았는데, 막상 뚜껑을 열고보니 시장이 열리자마자 박찬호에게 가장 적극적으로 구애하면서 마음을 잡는데 성공했다. 조건은 4년 총액 80억원이다.
FA 최대어 박찬호가 두산과 4년 총액 80억원에 계약했다. 사진제공=두산 베어스
두번째 충격 이적은 강백호의 한화 이글스행이었다. 강백호는 원 소속팀 KT 위즈와의 협상 그리고 미국 진출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는 상태였고, 미국으로 개인 훈련을 간다는 이야기도 있었다. 그런데 갑작스럽게 한화가 시장에 뛰어들었다. 2차 드래프트를 통해 고액 연봉 베테랑들이 이적하면서 샐러리캡에 여유가 조금 생긴 한화는 강백호에게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하루만에 4년 최대 100억원(옵션 20억 포함)에 사인했다. 강백호의 한화행은 그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던 시나리오였다.
강백호. 사진제공=한화 이글스
세번째 충격 이적은 김현수의 KT행. LG 트윈스에서 두번의 우승을 이끌었고, 올해 한국시리즈 MVP까지 수상하면서 다시 주가가 상승한 김현수는 원 소속팀 LG 뿐만 아니라 두산 베어스, KT의 러브콜을 받았다. 최종 승자는 KT였다. KT는 김현수에게 3년 50억원 전액 보장 조건을 파격적으로 안기면서 25일 계약 소식을 공식 발표했다.
그리고 두산의 프랜차이즈 스타 김재환발 충격 소식이 26일 알려졌다. 두산은 이날 김재환의 보류 명단 제외 소식을 알리면서, 4년전 FA 계약 당시 두산과 4년 후 우선 협상 기갖을 갖고, 결렬시 풀어주는 옵트 아웃 조항이 포함돼있었다는 것을 알렸다.
김현수(오른쪽). 사진=KT 위즈
두산 구단은 FA 시장이 열린 후 여러 선수와 협상을 하면서도 김재환과의 다년 계약 성사를 위해 노력했다. 25일 밤까지 선수를 설득하고, 조건을 제시했지만 결국 김재환이 시장에 나가는 것을 선택했다. 리그 보류 규정상, 김재환은 1년간 두산에 돌아오지 못하되 완전한 자유 신분으로 나머지 9개 구단과 협상을 할 수 있다.
다만, 앞으로 거물급 선수의 FA 계약시 여파가 있을 수 있는 대목이다. 김재환은 FA 4년의 계약 기간을 모두 채워, 올 시즌이 끝난 후 두번째 FA를 신청할 수 있었다. 그런데 FA 신청을 포기했다. 외부에서는 '김재환이 자신의 최근 성적을 감안해 FA를 포기하고 두산에 남겠다는 뜻을 피력한 것이 아니냐'고 봤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다.
김재환이 FA를 신청했다면 등급제 기준으로 B등급. 김재환을 영입하는 타팀이 25인 외 1명의 보상 선수와 연봉 100%, 혹은 연봉 200%를 보상금으로 받을 수 있다. 내년 38세인 김재환의 나이를 감안했을때, 보상 선수는 영입에 있어서 상당히 껄끄러운 걸림돌이다.
25일 잠실야구장에서 열린 한화와 두산의 경기, 5회말 1사 1,3루 두산 김재환이 3점홈런을 치고 있다. 잠실=허상욱 기자wook@sportschosun.com/2025.09.25/
김재환은 이런 부분을 감안해, FA를 신청하지 않고 옵트아웃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두산 잔류 가능성은 완전히 사라지지만, 대신 어느 구단과도 제약 없이 협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재환을 영입하는 구단도 보상 선수에 대한 스트레스에서 해방되기 때문에 오직 계약 기간, 연봉 협상에만 초점을 맞추면 된다.
하지만 옵트아웃 케이스들이 최근 늘어나면서, 앞으로도 구단과 거물급 선수가 FA 계약을 할시 이 조항을 넣어주느냐를 두고 대립각을 세울 수 있는 여지가 보인다. 옵트아웃 조항을 넣는 것은 규정 위반이 아니다. 지금도 누구든 구단의 합의 하에 옵트 아웃 조항을 계약서에 넣을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 되면, 등급제 기준 A등급 혹은 B등급이 유력한 선수가 구단과의 협상시 옵트아웃 조항을 '키'로 사용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는 아니더라도, 타팀 오퍼가 있어 경쟁이 붙을 경우 결국 선수 측이 '갑'이 될 수밖에 없는데 앞으로도 옵트아웃이 관건이 될 수 있다. 규정의 허점을 이용하는 묘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