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이 레바논을 눌렀다.
예상했던 베스트 5가 나왔다. 센터 아터 마족, 가드 아미르 사우드, 포워드 알리 하이다르가 핵심. 한국은 라건아 양희종 오세근 김선형 이정현이 선발로 나섰다. 일단 초반이 중요했다. 라건아와 오세근의 협력으로 마족의 높이를 묶고, 양희종이 내외곽이 능한 하이다르를 묶는 다는 의도. 여기에 김선형과 이정현을 내세우면서 트랜지션과 외곽을 동시에 노리겠다는 복안.
초반 레바논이 행운이 따랐다. 공격 제한시간을 두고 양희종이 블록슛을 시도했지만, 3점 파울로 선언됐다. 한국은 공격은 잘 풀리지 않았다. 라건아의 1대1 공격이 마족에게 번번이 막혔다.
14-14 동점으로 1쿼터를 마쳤다. 2쿼터 레바논의 반격이 이어졌다. 마족의 높이에 한국 선수들은 적응하지 못했다. 미드 레인지 점퍼가 제대로 들어가지 않았다. 반면 레바논은 아마드 이브라임이 정확한 외곽포로 림을 두드렸다.
무려 11실점. 24-35, 11점 차로 스코어가 벌어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3쿼터, 한국의 거센 반격이 시작됐다. 레바논은 체력이 떨어지기 시작했다. 라건아의 내외곽 슛이 들어가기 시작했다. 이대성이 에너지를 발휘했다. 강한 압박으로 스틸, 속공을 연결했다. 이정현의 3점포가 터졌고, 라건아의 내외곽 공격이 효율적으로 변했다. 결국 4쿼터 7분27초를 남기고 66-54, 12점 차까지 스코어를 벌였다.
이대성은 경기 종료 3분32초가 남은 상황에서 깨끗한 3점포를 터뜨렸다. 이후, 라건아가 골밑에서 지배력을 발휘하며 연속 4득점. 78-63. 남은 시간은 2분8초. 사실상 경기가 끝나는 순간이었다. 부산=류동혁 기자 sfryu@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