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김 용 기자] 감독이 이래서 중요하구나.
최근 수년간의 LG 농구는 암울했다. 성적도 성적이지만 노선이 불명확했다. 급한대로 FA 시장에서 선수는 사모으는데, 뭔가 방향성이 없었다. 신인 지명도 마찬가지였다. 팀에 가드가 넘쳐나는데, 가드를 또 뽑는 식이었다.
그러니 선수단 내 교통 정리가 되지 않고, 중구난방의 느낌이었다. 예를 들어 지난 시즌을 앞두고 FA로 이재도와 이관희를 영입했는데, 두 사람 다 볼을 많이 만지는 농구를 하는 특성상 공존이 쉽지 않았다.
물론 조성원 전 감독의 농구를 폄하할 의도는 아니다. 조 감독의 '닥공 농구'도 보는 재미가 있었다. 하지만 LG는 무작정 공격만 해서 상대를 꺾을 수 있는 팀 구성이 아니었다.
그 부족한 부분을 조상현 감독이 메워주고 있다. 가장 눈에 띄는 건 선수들 역할 정리다. 초보 감독인데 이미 '밀당'의 고수 같다. 공격에 비해 수비를 소홀히 하는 이관희를 개막부터 과감히 비중을 줄였다. 대신 악바리 같은 윤원상에게 많은 기회를 줬다. 이승우-윤원상 두 젊은 가드로 앞선을 재편하니 공-수 밸런스가 맞아들어가기 시작했다. 2대2 플레이가 좋은 이재도는 승부처에서 요긴하게 활용할 수 있었다.
그러자 이관희도 각성하기 시작했다. 조 감독도 이관희를 마냥 배제하지 않고, 득점이 필요할 때 역할을 줬다. 특정 선수에게만 의존하지 않는다. 팀에 건강한 경쟁 구도가 만들어진 것이다.
필리핀 선수 저스틴 구탕 활용법도 훌륭하다. 포워드 라인 전력이 떨어지는 LG인데, 개막에 맞춰 몸을 만들지 못한 구탕을 무리하게 활용하지 않고 천천히 적응의 시간을 줬다. 이제 구탕은 LG에 없어서는 안될 전력으로 신분이 상승했다. 2~3번 라인 공-수 핵심 역할을 수행해주고 있다.
화려함만 추구하던 LG 농구에 필요한 건, 바로 기본이었다. 화려하려면, 기본이 밑바탕에 깔려있어야 한다는 걸 잊고 있었다. 조 감독은 늘 기본을 강조하고 있다. LG 농구가 확실히 달라지고 있다.
김 용 기자 awesome@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