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리뷰] 힙합 신의 재림, 꺼진 불도 다시 보는 '복면가왕'

기사입력 2015-11-16 09:13


현진영 유영석 <사진=MBC '일밤-복면가왕' 방송화면>

[스포츠조선 최보란 기자] MBC '일밤-복면가왕'을 통해 추억의 가수들이 건재함을 알리고 있다.

지난 15일 방송된 '복면가왕'에서는 현진영이 '꺼진 불도 다시 보자 119'라는 이름으로 출연, 예상치 못한 무대로 시청자들을 놀라게 했다.

이날 '여전사 캣츠걸'과의 1라운드 경연에서 지면서 얼굴을 공개한 현진영의 정체에 현장과 안방극장은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과거 '흐린 기억 속의 그대'라는 히트곡을 남기며 일명 '토끼춤'으로 90년대 가요계를 평정했던 그였지만, 가면을 쓴 현진영은 김광석의 '편지'로 댄스에 가려졌던 가창력을 확인시키며 반전을 선사했다.

정체가 밝혀진 이후 현진영은 '흐린 기억 속의 그대'를 춤을 추며 그 시절을 재현했고, 현장은 마치 콘서트장 같은 열기가 넘쳐 올랐다. 동시대에 활동했던 유영석은 반가움과 더불어 오랜만에 보는 그의 무대에 만감이 교차하는 듯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무대를 마친 현진영은 "데뷔 26년 동안 토끼 춤, 엉거지춤 이런 수식어만 따라붙었다. 그동안 여러분에게 보여드리지 못했던 것들을 맘대로 표현해서 보여드렸다는 점에서 가왕이 못 됐지만 무척 만족스럽고 행복하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복면가왕'이 아니었으면 현진영이 이렇듯 용기내 다시 한 번 목소리를 낼 수 있었을까. 현진영에 앞서서도 왕년에 최고 인기를 구가했던 중견 가수들이 여럿 '복면가왕'의 문을 두드려 왔다.

80년대 최고 하이틴 스타 김승진은 '어디에서 나타났나 황금박쥐'라는 이름으로 등장해 청중평가단을 놀라게 만들었다. 김승진은 "과거에는 인기가 많았지만 그게 오히려 내 발목을 잡았다. 그동안 과거 인기를 더 뛰어넘고 싶었다"면서 "나이가 들고 나니 '좋아하는 음악을 계속하기만 하면 된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털어놓았다. 김승진은 "이런저런 사정으로 음반제작이 미뤄졌다. 10년째 녹음만하다 활동을 제대로 못했다"며 "음악을 평생할거다. 앞으로는 어떤 조건과 상황에 관계없이 내 인생을 가고 음악을 열심히 하겠다"고 밝혔다.

'토실토실 천고마비' 배기성은 "강하고, 코믹한 이미지가 노래할 때 방해가 됐다. 여기 나와서 노래로만 보여주고 싶었다. 판정단이 '발라드는 안 된다'고 하시더라"며 '복면가왕'에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그는 이어 "각인된 소리가 짐이라는 생각을 저만 그렇게 생각한 거 같다. 좋아해주던 대중들의 표정들은 보니 이거였구나 싶다. 노래를 불러야 대중들이 힘을 준다고 생각했다. 제 목소리를 사랑해주시는 줄 미처 몰랐다"고 소감을 털어놨다.

데뷔 20년차 가수 이정봉도 '쏘냐도르 앤 스파르타'로 등장해 감동의 무대를 선사했다. 그는 "꾸준히 음반을 냈다. 레오라는 이름으로도 활동했다. 작년까지 꾸준히 음원을 냈다"고 말해 모두를 놀라게 하며 "'어떤가요' 대표곡 있는 건 행운이다. 19년이나 세월 흘렀는데도 거의 알지 않나. 그러면서도 콤플렉스다. 어떤 노래를 해도 거기에 가려지는 느낌을 받았다"고 남모를 고충을 털어놓기도 했다. 이어 "전문가들한테 객관적인 평가를 받고 싶었다. 내가 아직도 노래를 해야 되나 싶었다. 그런 갈등이 많이 있었다"고 '복면가왕' 출연 이유를 밝히며 "노래를 죽을 때까지 절대 놓지 않겠다"고 말했다.


90년대 초반 일렉트로닉 댄스 음악을 했던 EOS 출신으로 '그랬나봐', '좋은 사람' 등의 히트곡을 보유하고 있는 김형중도 가면을 쓰고 새로운 변신을 보여줬다. 김형중은 히트곡을 통해 널리 목소리가 알려진 가수 중 한 명이었지만, 좀처럼 무대에서 만나기 힘들었다. 김형중은 "그간 음원도 내고 방송도 했었는데 방송에 안 나왔었다. 무대 울렁증이 있다. 복면을 쓰니 좀 덜하다"고 말했다. 가면의 힘이 다른 사람의 편견 뿐 아니라 스스로의 틀을 깨는 효과도 보여준 셈이다.

이처럼 다양한 가수들이 가면을 통해 대중과의 거리를 좁히고 자신의 가능성을 재발견하고 있다. 가수들은 일반 무대였다면 보여주기 어려웠을 모습을 선보이며 자신안에 감춰졌던 새로운 매력을 이끌어냈다. 과거의 인기와 명성에 발목이 잡혀 오히려 활동재개에 어려움을 겪었던 가수들은 가면으로 정체를 감추고 더욱 자유롭게 노래를 부를 수 있었다.

'꺼진 불도 다시 보자 119'라는 현진영의 가면 이름처럼, 꺼졌다고 생각했던 그들의 음악을 향한 열정의 불씨는 안보이는 곳에서 여전히 타오르고 있었다. 가면이 북돋아준 용기를 바탕으로 이들의 무대를 더 자주 볼 수 있길 기대해 본다.

ran613@sportschosun.com

Copyright (c) 스포츠조선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c) 스포츠조선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