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바일게임 업계는 전쟁터나 다름없다. 수많은 게임들 속에서 게임만의 유저들을 끌어들이고 오랫동안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게임 뿐만 아니라 게임 외적인 사업과 마케팅까지도 공을 들여야 겨우 살아남는 세계가 됐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게임들의 품질이 높아지면서 유저들의 수준도 자연스럽게 올라갔다. 이제 유저들은 단순 광고로 현혹되지 않으며 초기 게임 서비스는 물론 중후반까지 게임 품질을 파악하고 게임을 즐기기 시작해 모든 분야에 공을 들이지 않으면 실패에 이르기 쉽다.
|
때문에 최근 신작들은 게임 자체에 차별점을 두고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기본적인 성장 진화 강화 시스템을 벗어나 나름의 RPG 구조를 강화하는 형태부터 단순성을 강화해 모바일게임 특유의 감성을 끌어내는 경우가 종종 보이고 있는 것이다.
특히 온라인에서 빛을 보기가 쉽지 않은 RPG 매니지먼트 부분은 정교하게 다듬어지면서 모바일게임계에서 조금씩 관심을 끌고 있는 부분이다. 이미 다양한 게임사의 게임들로 그 가능성이 점쳐졌으며 대중적인 큰 인기를 끌지 못했지만 마니아층이 형성되는 등 지켜보고 있는 관계자들도 늘었다.
|
여기에 넥슨이 새로운 도전장을 냈다. 신작 '리터너즈'를 통해 RPG 매니지먼트 진출을 선언한 것이다. 게임은 말 그대로 유저가 모든 것을 다루고 컨트롤 하면서 감독처럼 자신의 영웅을 지휘할 수 있다. 때문에 궁극적인 콘텐츠는 PvP에 집중돼 있으며 다른 모바일게임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PvP 시스템을 대거 포함시킨 것이 특징이다.
기본 모바일게임들은 PvP 콘텐츠를 전부 자동으로 구성하거나 일부 강력한 영웅만 있다면 상위권에 올라가는 것도 가능했지만 '리터너즈'는 절대 그렇지 않다. 영웅 자체의 컨디션부터 상성, 클래스, 팀 버프 등을 잘 조합해 구성해야하며 리그 및 토너먼트 시스템 등으로 다른 유저와 생생한 대결을 통해 승리를 거둬야하는 게임이다.
기존의 비슷한 장르 게임들은 확실히 꼼꼼한 매니지먼트에 집중하면서 마니아층만 가져가려는 경향이 있었지만 '리터너즈'는 대중성을 추가해 일반 유저들도 즐길 수 있도록 구성했다. 역사와 신화 속에 등장하는 유명한 영웅들을 도입해 친숙함을 더했으며 레이드나 간단한 전투 시스템을 더하는 등 기본적인 RPG 콘텐츠를 모두 갖췄다.
|
자세한 게임성은 오는 7일부터 열흘간 진행될 테스트에서 공개될 예정이나 현재까지 공개된 정보로 분석해 봤을 때는 시장의 반응 또한 남다를 것이란 예상이다. 남들 보다 한 발 더 앞서나갈 수 있는, 그리고 게임에 더 깊이 파고 들 수 있는 부분을 제대로 구현한 '리터너즈'는 딱 국내 유저들이 좋아할 만한 게임이라는 평가다.
한 업계 관계자도 "RPG 매니지먼트 장르는 모바일게임계에서 언제가 주목받을 장르다."며 "기존의 게임들이 너무 하드코어 했다면 넥슨의 리터너즈는 심오함은 가져간 채 대중성을 살려냈다. 이 게임에 따라서 추후 모바일게임계의 유행이 바뀔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만 게임 담당 기자 ginshenry@gameinsight.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