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배선영 기자] 영화 감독 봉만대만큼이나 아티스트 봉만대라는 수식어가 익숙해졌다. 그가 직접 연출하고 주연으로 출연한 영화 제목 '아티스트 봉만대'(2013)의 영향도 있겠지만, MBC '라디오스타' 출연 한 번에 확실한 캐릭터를 구축해 영화 감독 이상의 활약상을 보여준 덕분이다. 최근 수년간 그의 행보는 단연 인상적이었다. 여러 방송을 통해 감독이지만 웃긴 캐릭터인 동시에 그만의 작품 세계가 확고한 아티스트 이미지로 대중에 각인됐다. 여기에 최근에는 이무영 감독의 영화 '한강블루스'에 주연으로 출연해 우리 사회 속 소외자들의 상처와 치유 과정을 그린 묵직한 울림의 극을 이끌어가기도 했다. 스스로는 자신을 감배(감독 겸 배우)로 칭하지만, 사실은 씨네 아티스트라는 수식어가 가장 마음에 든다는 봉만대를 SBS 목동 사옥에서 만났다.
|
이무영 감독은 장효 역할에 적합한 배우를 찾기 위해 동분서주했다. 그런 이 감독에게 허진호 감독이 '배우' 봉만대를 추천했다. "연기적 훈련은 덜 됐겠지만 어설프게 알려진 배우를 쓰느니 어느정도 알려졌으면서도 신선한 느낌을 주는 봉만대 감독을 장효 역할에 써보는 것이 어떠냐"는 것이 허 감독의 의견이었다. 이무영 감독은 결국 봉 감독에게 자신의 시나리오를 내밀었고, 그런 그의 심정을 누구보다 이해할 수밖에 없는 봉 감독은 결국은 그의 카메라 앞에 서게 됐다. 결과는 기대 이상. 그는 무리없이 극을 이끌었고 장효 역할에 젖어들었다. 봉만대스러우면서도 장효스러운 캐릭터가 구현됐다.
"처음 시나리오를 받고 장효 역할을 하게 됐을 때는 감독의 시선에서 바라봤어요. 아무래도 그럴 수밖에 없었죠. 그러다 장효를 표현하는 배우의 입장이 되면서는 여러 생각들이 들었지만 '결국은 나'라고 생각하며 연기했어요. 처음에는 장효라는 사람을 이해하려 애쓰다가 그냥 장효와 같은 상황에 놓인 봉만대라고 생각한 것이죠. 연기를 해보니 어땠냐고요? 배우가 가장 고통스럽고 힘든 직업인 것 같아요. 앞으로는 촬영할 때 배우의 입장에서 스케줄을 배분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죠."
혹 다시 연기를 할 계획이 있냐는 질문에 그는 "연기에 욕심을 두고 있지는 않지만 자연스럽게 할 계기가 생기면 그렇게 되지 않겠나"라고 말한다. 당장 정해진 계획도 있다. 그는 개그우먼 이세영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19금(禁) 소재의 웹드라마에 출연할 계획이다. 아무래도 가까운 시일 내 배우 봉만대의 모습을 또 볼 수 있을 것 같다.
이렇듯 자신의 영역을 구태여 제한하지 않고 활발히 활동 중인 봉만대에게 이제 감독이라는 말만으로는 수식하기 어려워졌다고 하자, 그는 "난 스스로를 감배(감독 겸 배우)라고 칭하긴 하는데, 가장 마음에 드는 수식어는 아무래도 씨네 아티스트다"라며 자신을 규정지을 적합한 단어를 찾아냈다. 확실히 그는 범인은 아니다.
sypova@sportschosun.com 사진=최문영 기자 deer@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