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김영록 기자]"어쩌면 오늘 콘서트가 아버지께 바치는 마지막 콘서트가 될 지도 모릅니다."
지난해 자서전 '뛰뛰빵빵 김정연의 인생버스'를 출간하고 그 보답으로 '김정연 효, 행복 콘서트'를 열어 전국 어르신들을 무료로 모신 바 있다. 그 때 감동을 잊지 못한 어르신들의 성화에 힘입어 지난 24일 서울 영등포아트홀에서 두 번째 콘서트를 가진 것. 작년에 이어 올해 두 번째 열리는 이번 콘서트에는 '국민 안내양'으로 살아 온 지난 10년 동안 KBS 1TV '6시 내 고향' 시골버스를 통해 인연을 맺은 어르신 200여분을 포함해 총 500여분을 초대해 함께했다.
"팽이는 돌아야 넘어지지 않고 물은 흘러야 썩지 않는다고 하지요. 또 기계는 움직여야 녹슬지 않고 사람은 자주 만나야 정이 드는데 가수 김정연은 이를 철칙으로 알고 삽니다. 20대에는 노찾사 민중가수로, 30대에는 논리 정연한 방송인으로, 그리고 40대에 다시 턴해서 트로트 가수가 됐습니다. 팽이처럼 쉬지 않고 돌고 강물처럼 끊임없이 흘러서 오늘 이 자리까지 왔는데 앞으로 또 어떻게 변할 지. 본인도 잘 모르겠다고 합니다" 개그맨 강성범의 소개로 콘서트 문이 활짝 열렸다.
특히 "엄마가 지금 아버지와 나란히 서울대 분당 병원에 입원해 있습니다. 아버지는 심정지 상태로 중환자실에 들어가 지금 겨우 숨만 쉬는 절박한 상태고요. 엄마는 충격으로 쓰러져 집중 케어실에 계십니다. 못난 딸이 속죄를 할 시간을 부모님은 주지 않더라."라는 부모님 근황을 전할 때 객석은 눈물바다로 변했다.
이날 콘서트는 가정의 달을 맞아 '부모와 가족'이란 주제로 관객과 소통하는 것에 중점을 뒀다. 관객이 털어놓는 속마음에 깊이 공감하면서 자신이 살아온 인생을 덧대고, 여기에 노래를 곁들인 김정연 표 '효 콘서트'는 함께 한 그 자체만으로도 힐링이다.
이날 공연을 관람한 한 관객은 "김정연님 아버지 김정수 어르신께서 우리 복지관을 이용하셨다. 어르신 덕분에 김정연님이 1년에 3-4차례 무료공연 재능기부도 해주고 우리 복지관 어르신들께 희망과 행복을 주기도 했다."며 "지금도 돌아가신 어버님께서 제 방에 오시면 아주 차분하신 목소리로 은근히 막내 따님(김정연)을 자랑하시던 모습이 떠오른다. 아마 아버님께서도 우리 막내 따님의 공연하는 모습을 흐뭇하게 보시고 가셨으리라 믿습니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한편 지난 2009년 KBS 1TV '6시 내 고향'의 시골버스 안내양으로 발탁된 후 지금도 변함없이 매주 시골버스를 타고 전국을 누비며 어르신들 이야기를 끌어내고 있는 가수 김정연은 군내(郡內)버스를 가장 많이 탄 인물로 기네스북에도 등재되어 있다.
lunarfly@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