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이승미 기자]우민호 감독이 영화 '남산의 부장들'의 연출 스타일과 기획 의도에 대해 말했다.
한·일 양국에서 약 52만부가 판매된 김충식 저자의 논픽션 베스트셀러 '남산의 부장들'을 원작으로 하는 '남산의 부장들'. 우 감독은 18년간 지속된 독재정권의 종말을 알린 대한민국 근현대사의 주요 사건인 중앙정보부 부장의 1979년 일어난 대통령 살해사건을 다루는 이 작품을 자극적으로 그려내는 대신에 관련 인물들의 관계와 심리 면밀히 따라가며 치밀하게 그려냈다. 우 감독은 '남산의 부장들'을 뜨거운 활화산 같았던 '내부자들'과 달리 얼음처럼 차갑고 냉정하면서도 눈을 뗄 수 없게 만들었다.
이날 우민호 감독은 언론 시사회 이후 쏟아진 평에 대해 "아직 대중의 평가가 남긴 했지만 기자 및 평론가분들, 영화 산업에 계신 분들은 좋게 봐주신 것 같다. 제가 만든 영화 중에서 가장 좋게 평가해주신 것 같다"고 입을 열며 인터뷰를 시작했다.
우민호 감독은 10.26 사태를 영화한 이유에 대해 묻자 "그 일이 '왜 일어났냐'에 대한 호기심이 가장 우선이었다"고 말했다. "우리나라 현대사의 가장 큰 변곡점 같은 부분인데 그 사건이 사실은 굉장히 거대한 논리적 인과관계와 뚜렷한 대의가 있을 거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그건 오히려 희미한 부분이고 인간과의 감정 관계 속 균열과 파열에서 비롯되지 않을까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원작 소설이 그런 걸 다루고 있었다. 왜 그들은 그렇게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 했냐면 대의 보다는 그들이 가진 감정이 우리도 느끼고 가지고 있는 감정, 존중, 배신, 모멸, 시기, 질투 등의 감정이 소용돌이치면서 서로가 서로를 불신하고 밀어낼 수밖에 없는 것에서부터 비롯된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면서 우 감독은 "권력이라는 게 한 국가의 운명의 좌지우지 할 수 있는 것이지만, 우리 영화에서 보여지는 권력이 직장, 가정, 우정에서의 보편적인 권력과 같은 것으로 표현하고 싶었다. 특별한 정치적 대의나 거시적인 그림으로 이 영화를 10,26를 조명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내면과 파헤치면서 10,26을 조명하고 싶었다. 그리고 그 사건이 과거에 머무르는 게 아니라 그 사건이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되돌아보고 싶었다"고 덧붙였다.
한편, '남산의 부장들'은 이병헌, 이성민, 곽도원, 이희준, 김소진 등이 출연한다. 오는 22일 개봉. 이승미 기자 smlee0326@sportschosun.com 사진 제공=㈜쇼박스
▶2020 신년운세 보러가기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