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조지영 기자]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 게임'(황동혁 극본·연출)이 그야말로 할리우드의 롤모델, 뮤즈로 완벽히 자리잡았다. 미국의 거장 연출자이자 제작자인 스티븐 스필버그도 '오징어 게임'을 향한 찬사를 쏟아낸 가운데 'K-콘텐츠'의 성장 가능성이 다시 한번 미국 시장에 집중 조명됐다.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은 지난 19일(현지시각) 열린 제33회 미국제작자조합(Producers Guild of America, PGA) 시상식에 참석, 패널 연설에서 스타 배우들의 중요성에 대한 토론 중 '오징어 게임'을 언급해 전 세계 이목을 집중시켰다.
또한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은 "'오징어 게임'이 미국의 배우, 영어 없이 이룬 성과에 감명을 받았다. 앞으로 제작자들에게 캐스팅 선택에 있어 많은 영감을 준 작품이 됐다"고 찬사를 보냈다.
미국 매체 데드라인 역시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은 지난해 전 세계에 공개된 '오징어 게임'을 업계의 판도를 바꾸는 '게임 체인저'로 꼽으며 박수를 보냈다"고 조명했다.
실제로 '기생충'(19, 봉준호 감독)을 시작으로 '미나리'(21, 정이삭 감독)의 윤여정, 그리고 '오징어 게임'의 연이은 성공은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 콘텐츠 시장의 변화와 가능성을 입증한 사례로 많은 관심을 끌었다.
봉준호 감독이 언급한 '1인치의 장벽(언어)'을 뛰어넘은 'K-콘텐츠'는 그동안 쌓아온 노하우와 탄탄한 스토리텔링, 배우들의 뛰어난 열연을 등에 업고 훨훨 날아 오르는 중이다. 언어는 더 이상 핸디캡과 리스크가 아니라는 것을 세 작품을 통해 입증했다. 더불어 톱스타에 집중된 캐스팅이 아닌 숨겨진 보석을 발굴하는 기회의 장이 된 것 또한 '기생충' '미나리' '오징어 게임'이 가져온 변화다.
조지영 기자 soulhn1220@sportschosun.com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