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문지연 기자] '정신병동' 이재규 감독이 자신의 경험을 고백했다.
이재규 감독은 7일 오전 서울 종로구의 한 카페에서 스포츠조선과 만나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이남규 오보현 김다희 극본, 이재규 김남수 연출)의 인터뷰에 응했다.
'정신병동'은 매회 공감되는 정신질환을 담아내 시청자들의 반응을 이끌어낸 드라마다. 불안장애나 공황, 우울 등 현대인들에게 낯설지 않은 질환들을 다뤘다는 평. 이 감독은 "많은 이들에게 사랑을 받고 싶다는 생각으로 시작했는데, 실제로 그렇게 돼 행복하다. 프로듀서를 하면서 힙한 이야기, 자극이 되는 이야기, 힐링이 되는 이야기를 큰 세 축으로 가자고 생각해 기획했었는데, 그중에 표현 면에서는 힙하고, 이야기 흐름에서는 자극이 되고, 또 힐링이 되는 지점이 있던 것 같다. 이 이야기를 보시면서 한국 사회를 살아가고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글로벌 팬들이 위안을 얻을 것이라고 믿는다"고 밝혔다.
이 감독은 "현대에서 다뤄야 할 소재라는 것에 공감했다. 저 자신도 힘들던 시기가 있었다. 우울증으로 힘들었고, 공황장애가 와서 고생했던 시기도 있었다 보니, 사람이 살면서 누구나 한 두 번쯤은 경험하게 되는 간접 경험의 이야기를 안 다룰 수 없다는 생각으로, 제대로 해보자고 했다"고 했다.
이재규 감독은 실제로 자신의 투병 경험을 고백하기도. 그는 "저만의 문제는 아니고, 많은 분들이 앓고 있는 것"이라며 "저도 우울감이 있을 때 오래 병원에 가지 않았다. 그래서 상태가 안 좋아졌던 시기도 있었다. 확실히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면 좋더라. 강박이나 공황, 불안, 우울 등 이게 현대인의 균형감을 무너뜨리는 괴물이라고 생각하는데, 이 네 가지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사람이 서울 시내의 절반일 것이다. 그런 것을 보며 '내 자신, 내 주변, 내 친구들에게 그런 것이 없나?'하며 어떻게 바라봐야 할지를 생각했다. 사실 '왜 그렇게 유난을 떠느냐'고 하시는 분들도 있는데, 그러면 결국 스스로를 질타하게 되고 상태가 악화되더라. 사실, 경제지표가 올라가면 행복지수도 함께 오르는 것이 일반적이라는데, 그렇지 않은 나라가 있다더라. '정신병동'이 한국에서 성공한다면, 그 원인이 어디에 있을까. 그야말로 공포, 다시 돌아봐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
현대인들의 정신질환이 증가하는 이상, '정신병동'도 계속해서 이어지길 바라는 시선도 존재했다. 이 감독은 시즌2에 대해 "확정할 수 없다"고 했지만, 그럼에도 시즌2 아이템을 미리 준비해둔 모양새. 이 감독은 "섭식장애나 리플리 증후군 등 소재도 있지만, 시즌2를 위해 남겨뒀다. 많은 의사 분들, 간호사 분들을 취재하며 현대사회와 직결된 질환이 많다는 것을 알았다. 시즌2에 대해 확정적으로 말할 수 없는 부분들이 많지만, 시즌2가 나온다면 보호사들의 백스토리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고 싶다"고 밝혔다.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는 정신건강의학과 근무를 처음 하게 된 간호사 다은(박보영)이 정신병동 안에서 만나는 세상과 마음 시린 사람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그린 작품. 3일 공개된 이후 국내 넷플릭스에서는 1위를 기록하며 많은 이들의 가슴에 울림을 주고 있다.
문지연 기자 lunamoo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