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포츠조선 백지은 기자] K-드라마의 발전을 위한 장이 열렸다.
이기헌 의원은 "정부 차원의 제도적 개입과 산업 주체 간 상생을 위한 대타협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드라마산업 특별법 제정 등 실질적인 입법 추진 의지"를 밝혔다. 김준혁 의원은 "한국 드라마가 지닌 사회적·문화적 가치를 강조"하며, "글로벌 자본 중심의 제작 환경에서 우리 드라마 산업을 지키기 위한 정책적 뒷받침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간담회에서는 제작사와 방송사가 겪고 있는 편성 축소, 수익구조 악화, 출연료 급등, 광고 규제 등 복합적 위기 요소들이 논의되었다. 특히 드라마 제작사들은 편성 불확실성과 유통 지연, 자금 회수의 어려움으로 인한 구조적 리스크를 집중적으로 제기했다.
이우종 공동위원장은 마무리 발언에서 "드라마 산업의 양극화와 글로벌 OTT 자본의 영향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명확한 정책 신호를 줄 필요"가 있으며, "여당이 된다면 행정·입법 권한을 활용한 실질적 제도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송병준 협회장 또한 "관행적 지원을 넘어서는 대담한 정책 개입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지금이 바로 K-드라마 산업을 위한 구조적 전환점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간담회는 국회와 산업계가 공동으로 위기의식을 공유하고 실행 가능한 정책 해법을 논의한 의미 있는 자리로, 향후 제도화와 정책 반영을 통해 드라마 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견인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백지은 기자 silk781220@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