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미국 카네기멜런대 기계공학과의 세라 버그브레이터 교수는 이런 벼룩의 놀라운 특성을 소형 로봇 개발에 적용했다. 그 결과 30㎝를 점프할 수 있는 소형 로봇을 개발할 수 있었다. 몇 밀리미터 크기에 불과한 이 로봇은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에서 저비용으로 무언가를 감지하거나 감시할 수 있고, 자연재해가 일어난 뒤 조심스럽게 잔해를 뒤져가며 수색 작업을 벌일 수도 있다고 한다. 자연에서 얻은 지혜를 실생활에 적용한 예라 할 수 있다.
최근 출간된 '작은 정복자들'(곰출판)은 곤충의 미시 세계를 조명한 책이다. 영국 런던 자연사박물관 파리목 부서의 수석 큐레이터인 에리카 맥앨리스터가 벼룩, 검정파리, 나비, 꿀벌, 바퀴벌레 등 작은 곤충들의 흥미로운 이야기를 수집했다. 3억년 전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곤충은 지구상에서 번성한 생명체 중 하나다. 종(種)수만 최소 100만종이 넘는다. 6천500여종에 불과한 포유류보다 훨씬 많다.
곤충은 인간과도 비슷한 부분이 많다. 노랑초파리의 경우 우리가 지닌 감각과 유사한 감각을 공유한다. 아프리카에 머물러 있던 '과일 마니아' 노랑초파리는 아프리카 노예들을 따라 신대륙으로 퍼져나갔는데, 이는 배에 있는 과일 때문이었다고 한다. 또한 노랑초파리는 인간이 걸리는 병에도 잘 걸린다. 질병과 연관된 유전자의 75%를 인간과 공유하기 때문이다. 많은 의과학자가 노랑초파리를 통해 인간의 질병을 연구하는 이유다.
이 밖에도 의료용 주사기 개발에 응용되는 나방의 천연 빨대, 하이테크 기계공학 분야에서 이용되는 나비의 날개 비늘,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대체 식량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아메리카동애등에, 신경화학 물질이 군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내는 데 일조한 바퀴벌레 등 다양한 곤충들의 활용도를 저자는 조명한다.
저자는 "곤충이 세상을 변화시킨 역사를 톺아보다 보면 아무도 예상하지 못한 돌파구가 곳곳에 흩어져 있는데, 자신의 분야를 넘어서 사고하는 상상력과 재능을 지닌 과학자들이 있는 한 곤충들은 우리에게 끊임없이 영감을 줄 것"이라고 말한다.
김아림 옮김. 340쪽.
buff27@yna.co.kr
<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