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안소윤 기자] 배우 김향기가 영화 '한란'을 통해 강인한 모성애를 보여주며 관객들에게 뜨거운 울림을 선사한다.
'한란'은 '겨울에 피는 한라산의 난초'를 뜻한다. 추위 속에서도 꺾이지 않고 꽃을 피우는 한란처럼, 영화는 1948년 제주 4·3 사건 당시 한라산으로 피신한 모녀의 생존 여정을 통해 꺾이지 않는 생명의 고귀함과 삶의 위대함을 그려냈다. 하 감독은 "이 영화를 기획하게 된 지는 조금 오래됐다. 2013년에 제주로 이주를 했고, 그곳에서 지낸 지 10년이 좀 넘었다. 매년 4.3 추모일이 돌아오고 추념식에 참석하면서 그냥 계속 슬퍼만 하는 것이 많이 미안하고 마음이 아프더라. 이 역사적인 비극에 공감하고 슬퍼할 수 있는 방법이 뭘까 고민하다가 영화로 제작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
작품에 참여하게 된 계기에 대해선 "시나리오를 읽자마자 너무 좋았다. 저에게 이점이 되는 작품이어도 시나리오가 안 읽히면 곤란한데, '한란'은 대본을 받았을 때부터 술술 잘 읽혔고 재밌었기 때문에 꼭 참여하고 싶었다"며 "저에게 중요한 선택은 이 작품을 할지 말 지에 대한 고민 보단, 시나리오 자체가 너무 좋아서 캐릭터를 어떻게 구현할 지에 대해 집중을 많이 했다. 감독님께서도 (영화적 배경에 대해) 디테일하고 믿음이 가게 설명을 잘해주셔서 감사했다"고 말했다.
|
하 감독은 모녀 호흡을 맞춘 김향기와 김민채의 캐스팅 비하인드를 전했다. 먼저 김향기에 대해 "김향기를 만난 건 최고의 행운이다. 시나리오 초고 작업을 마치자마자 PD님한테 이야기를 해서 김향기에게 대본을 전달했다"며 "시나리오를 작업하면서 48년도에 제주 4.3 사건을 겪었을 고아진을 생각하다가, 또 지금 2025년 현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청년 분들이 고아진을 만났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 연결을 잘 이어 줄 다리로 어떤 배우가 있을지 고민했는데, 떠오르는 사람이 김향기 밖에 없었다"고 깊은 신뢰를 드러냈다.
이어 김민채에 대해서도 "민채는 치열한 오디션을 거쳐서 만나게 된 배우"라며 "현장에서도 그렇고, 사전 작업을 통해서 미리 중요한 신을 위한 리허설을 많이 했다. 김향기가 프리작업 때 김민채를 위해 연습실을 빌려서 연습해서 현장에서 더 나은 결과가 나왔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제주어가 워낙 중요해서, 제주도에서 공개 오디션을 열었는데 마땅한 배우를 찾기가 어려웠다. 이후 서울에서 다양한 장르 영화에 출연한 경험이 있는 아역 배우들을 데리고 오디션을 봤는데 운명처럼 민채를 만나게 됐다. 민채가 제가 중요하다고 생각한 장면을 잘 소화해 줬다"고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
안소윤 기자 antahn22@sportschosun.com





![[SC현장] "진짜 엄마보다 잘 챙겨줘"…엄마 된 김향기, '한란' 통해…](https://www.sportschosun.com/article/html/2025/11/12/2025111201000780100123351_w.jpg)
![[SC현장] "진짜 엄마보다 잘 챙겨줘"…엄마 된 김향기, '한란' 통해…](https://www.sportschosun.com/article/html/2025/11/12/2025111201000780100123352_w.jpg)
![[SC현장] "진짜 엄마보다 잘 챙겨줘"…엄마 된 김향기, '한란' 통해…](https://www.sportschosun.com/article/html/2025/11/12/2025111201000780100123353_w.jpg)
![[SC현장] "진짜 엄마보다 잘 챙겨줘"…엄마 된 김향기, '한란' 통해…](https://www.sportschosun.com/article/html/2025/11/12/2025111201000780100123354_w.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