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슈틸리케호가 러시아로 가는 첫 발걸음을 힘차게 떼고 있다.
가오홍보 중국 감독은 수비적인 경기 운영을 예고했다. 공격수 가오린(광저우 헝다) 위다바오(베이징 궈안)을 모두 벤치에 앉혀 놓았다. 대신 최근 아시아챔피언스리그(ACL) 8강 1차전 전북전에서 좋은 모습을 보였던 상하이 상강 듀오 우레이, 위하이를 비롯해 경험이 풍부한 정즈, 황보원(이상 광저우 헝다), 우시(장쑤 쑤닝)를 전면에 내세웠다. 수비라인엔 펑샤오팅, 장린펑, 리슈펑(이상 광저우 헝다), 런항(장쑤 쑤닝), 골문엔 정청(광저우 헝다)을 세웠다.
가오홍보 감독은 신중하게 경기 초반을 풀어가려 했다. 수비라인에만 5명의 선수를 배치하면서 실점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한국은 기성용과 이청용의 세트피스를 앞세우면서 중국을 압박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중국 선수들은 좀처럼 자기 진영에서 벗어나지 않으며 긴 패스를 활용한 역습을 시도하려 했다. 전반 17분에는 중국의 볼 흐름을 차단한 손흥민이 오른발로 볼을 접으면서 수비수를 제친 뒤 단독 드리블, 아크 왼쪽 부근까지 치고 들어가 오른발슛을 시도하면서 분위기를 달궜다.
당황한 중국은 한국의 측면 돌파에 잇달아 무너졌다. 전반 23분에는 손흥민이 중국 진영 페널티에어리어 오른쪽에서 올린 크로스가 지동원의 머리로 향했고, 전반 25분엔 구자철이 아크 왼쪽에서 시도한 오른발슛을 중국 수비진이 간신히 걷어냈다. 1분 뒤엔 오재석이 왼쪽 측면서 올린 긴 크로스를 이청용이 문전 오른쪽에서 오른발슛으로 연결했다. 남쪽 관중석을 채운 중국 응원단의 목소리에선 점차 힘이 빠지기 시작했다.
위기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전반 26분엔 중원에서 한국 진영으로 길게 연결된 볼이 쇄도하던 우레이에게 연결됐고, 페널티박스 오른쪽에서 정성룡과 1대1로 맞서는 상황이 빚어졌다. 홍정호가 태클로 걷어내면서 위기를 넘겼지만 아찔한 순간이었다.
중국은 전반 막판 공격 속도를 높였다. 전반 37분엔 순커, 1분 뒤엔 우레이의 슈팅이 이어졌다. 전반 40분엔 장현수가 페널티에어리어 오른쪽에서 걷어낸다는 볼이 압박하던 순커에게 연결됐고 문전 왼쪽에 있던 우레이까지 이어졌으나 슈팅이 빗나가면서 놀란 가슴을 쓸어내려야 했다. 한국은 전반 42분 프리킥 찬스에서 흐른 볼을 한국영이 아크 왼쪽에서 오른발슛으로 연결했지만 골문과는 거리가 멀었다.
상암=박상경 기자 ppark@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