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행으로 치닫던 배구 컵대회 외국인 선수 출전 문제가 가까스로 진화됐다.
그간 배구협회와 KOVO의 관계가 썩 좋았다고 말하긴 어렵다. 하지만 해묵은 과거 일들을 끄집어내지 않더라도 배구협회의 움직임은 선뜻 이해하기 어려웠다. 원리, 원칙은 지켜져야 한다. KOVO도 이미 규정에 따르겠다고 했다. 다만 큰 대회를 앞둔 시점인 만큼 융통성을 발휘해달라는 입장이었다.
상황이 파행으로 치닫자 KOVO는 21일 오전 긴급 이사회를 열었다. 팬들에게 약속한 외국인선수 출전을 위해 어떻게든 방법을 찾아보기로 했다. 국내선수 등록을 선행하라는 배구협회 지침을 따르기로 했다. 단, 물리적인 한계상 국내선수 등록을 25일까지 순차적으로 마치는 것으로 하고, 외국인선수의 KOVO컵 출전에도 무리가 없도록 협조해줄 것을 배구협회에 재차 요청했다. 칼자루를 쥐고 있던 배구협회는 그제서야 고개를 끄덕였다.
자 그럼 다른 종목 협회의 행정과도 비교해보자. 대한농구협회는 8월 중순 프로농구연맹과 각 구단에 9월 내 선수 등록을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다. 농구협회는 올해 초부터 농구연맹과 조율을 해 준비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다른 관계자는 "다른 협회는 미리 준비하고 이야기를 맞췄는데 배구는 그렇지 못했다. 신임 회장 선거, 올림픽 준비 등 많은 일들을 챙기느라 미처 신경을 못 쓴 게 아닌가 싶다"고 했다. 여론의 시선도 따갑다. 원리, 원칙을 준수하는 데엔 당연히 이견이 없다. 그러나 허술한 늑장 행정만큼은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다.
다행히 최악의 상황은 면했다. 하지만 이 정도의 소통부재와 무책임이라면 앞으로 무슨 황당한 일이 또 벌어질지 아무도 모른다. 배구발전을 위해 미래로 나아가야 할 시점이지만 희망을 찾기에는 아직 갈 길이 멀게만 느껴진다.
임정택 기자 lim1st@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