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98년 프랑스월드컵 당시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 20위였던 한국은 36위였던 벨기에를 1승 제물로 여겼다. 쉽게 말해 벨기에를 만만한 팀으로 생각했었다. 이후 19년이 흘렀다. 전세는 역전됐고 격차는 어마어마하게 벌어졌다. 벨기에는 세계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팀이 됐다. 2015년과 2016년에는 FIFA랭킹 1위도 찍었다. 반면 한국은 아시아에서도 강호 소리를 듣지 못하게 됐다. 10월 기준 이란(34위), 호주(43위), 일본(44위)에 이어 심지어 중국(57위)에까지 밀리는 암담한 상황에 직면했다.
|
유소년 육성 체계 발전의 핵심은 네 가지로 압축할 수 있었다. 비전과 철학 조직 시설·인프라 팀·대회였다. 미래 지향적인 구단일수록 명확한 구단의 운영 철학을 보유하고 있다. 무엇보다 '단기적인 승리와 우승만이 목적이 아닌 팬이 공감하는 운영 철학 설정이 필요했다. 게다가 전문성을 보유한 관리자에 의해 장기간 관리돼야 하고 육성 철학이 문서로 증거화될 필요성도 제기됐다.
조직과 함께 지도자 역량 강화도 시급한 문제로 떠올랐다. 그 동안 유소년 팀들은 지도자 머리 속에 있는 생각대로 팀이 운영됐다. 문서화되지도 않았다. 그러나 이젠 지원 조직과 프로그램 강화 속에 지도자 역량 강화 프로그램도 포함시켜야 한다는 부분이 제기됐다.
|
|
유소년 팀과 대회 구조도 개선돼야 한다는 점도 추진 과제로 제시됐다. 기존 학교 교육 시스템과 동일한 3년 체계 운영을 2년 체계로 수정 운영해 저학년 학생들의 경기 출전 기회 부족으로 인해 기량 정체가 발생되는 걸 막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장기적으로는 1년 단위의 팀 구성을 목표로 해야 한다는 목표가 제시됐다. 더 나아가 선수, 팀 관련 DB 구축 및 관리가 연계돼야 한다는 점도 부각됐다.
대회도 참가 연령 세분화가 화두였다. 특히 우수 선수들의 상위 연령 팀 경기 참가 기회를 통해 현재 수준 이상의 성장 기회가 제공돼야 할 필요성도 드러났다. 더불어 해외 원정 훈련 및 경기 경험 확대도 유소년 선수들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으로 소개됐다.
K리그는 유스 트러스트를 통해 '2026년 월드컵' 프로젝트에 기여하고자 한다. 현재 고교 3학년 선수들이 2026년 기량이 무르익을 스물 여섯이 된다. 연맹 관계자는 "유스 트러스트가 계속해서 진행돼 각 클럽의 유소년 팀이 발전될 경우 2002년 월드컵 4강 신화가 2026년에도 나타나지 말란 법이 없다"며 기대감을 전했다.
김진회 기자 manu35@sportschosun.com
KBL 450%+NBA 320%+배구290%, 마토토 필살픽 적중 신화는 계속된다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