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박찬준 기자]마침내 K리그 개막이 눈 앞에 다가왔다.
전북은 올 시즌 대대적인 영입에 나섰다. 김보경, 쿠니모토 같은 창의성 있는 자원들이 대거 가세했다. 하지만 측면 보강에는 소홀했다. 설상가상으로 오랜기간 전북의 측면을 책임진 로페스도 중국으로 떠났다. 한교원은 전북의 유일한 정통 윙어다. 전북이 기대한대로 중앙에서 아기자기한 패스로 기회를 만든다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의외로 밀집수비에 고전할 수도 있다. 그러면 측면을 시원하게 뚫어줄 수 있는 한교원의 가치는 중요해질 수 밖에 없다.
울산=원두재
포항=팔라시오스
지난 시즌 포항의 에이스는 단연 완델손이다. 한국 생활 5년만에 '포텐'을 터뜨린 완델손은 지난 시즌 15골을 폭발시켰다. 그런 완델손이 팀을 떠났다. 빈자리는 팔라시오스가 메운다. 안양에서 이미 좋은 모습을 보인 팔라시오스는 완델손과는 다른 매력을 갖고 있다. 완델손이 기술적이라면 팔라시오스는 거칠다. 다른 포지션이 지난 시즌과 거의 동일한 포항 입장에서 팔라시오스가 어떤 활약을 하느냐에 따라 올 시즌 아시아챔피언스리그 진출 여부가 결정된다.
|
대구=데얀
올 겨울 가장 의외의 이적이라고 한다면 대구의 데얀 영입이었다. 데얀은 지난 시즌 수원에서 외면받았다. 경기 외적인 이유도 있었지만 확실히 기량 저하가 두드러진 모습이었다. 그런 데얀을 대구가 품었다. 지난 시즌 세징야, 김대원, 정승원 등을 앞세워 무수한 찬스를 만든 대구는 결정력 부족으로 기대 만큼의 성적을 얻지 못했다. 결정력 만큼은 믿을 수 있는 데얀을 데려온 이유다. 기대대로 데얀이 골문에서 좋은 모습을 보인다면 대구는 다시 한번 아시아 무대로 나갈 수 있다.
|
올 시즌 성남은 변화가 크다. 팀의 승격과 잔류를 이끌었던 남기일 감독이 팀을 떠났다. 대신 김남일 감독이 부임했다. 김 감독은 부임과 함께 공격축구를 천명했다. 영입 역시 이에 맞춰졌다. 공격축구 완성을 위한 키는 임선영이 쥐고 있다. 성남이 올 시즌 데려온 양동현, 토미는 결정력은 좋지만, 스스로 만드는 능력은 떨어진다. 2선에서 얼마나 지원을 해주느냐가 중요한데, 이를 해줘야 하는 선수가 임선영이다. 패스와 기동력을 갖춘 임선영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부산=김호준
가까스로 승격한 부산의 약점은 단연 골키퍼였다. K리그2 최고 수준의 스쿼드를 지닌 부산이었지만 유독 골문이 불안했다. 큰 경기마다 무너진 결정적 이유기도 했다. 조덕제 감독은 승격과 함께 제일 먼저 골키퍼를 찾아 나섰다. 비싼 몸값 탓에 한숨만 내쉬던 부산은 김호준이라는 검증된 골키퍼를 영입했다. 수비진에 강민수, 윤석영 등 베테랑들을 더한 부산은 김호준으로 방점을 찍었다. 그가 최후의 보루 역할을 제대로 한다면 부산의 잔류 가능성은 더욱 높아진다.
박찬준 기자 vanbasten@sportschosun.com
무료로 알아보는 나의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