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스포츠조선 박찬준 기자]변성환호가 유종의 미 마저 거두지 못했다.
|
|
하지만 계획이 꼬이고 말았다. 변성환호는 잘 하고도 결과를 잡지 못했다. 예선전이었던 지난 아시안컵에서도 아기자기한 공격축구로 호평을 받았던 변성환호는 이번 대회에서도 과감한 공격축구를 전면에 내세웠다. 변 감독 역시 "우리가 가지고 있는 콘셉트대로 공격적인 경기를 펼칠 생각"이라고 했다. 한국은 초반부터 미국을 밀어붙였다. 하지만 운이 따르지 않았다. 전반 5분 멋진 플레이에 이어 윤도영(대전)이 절묘한 오버헤드킥을 시도했지만, 아쉽게도 왼쪽 골대를 맞고 나왔다. 이 찬스를 놓친 한국은 2분 뒤 미국에게 선제골을 내줬다. 한국은 이후 총공세에 나섰다. 양민혁(강원)의 중거리슛이 또 다시 골대를 맞고 나오며 아쉬움을 삼킨 한국은 전반 35분 김명준(포항)이 동점골을 만들어냈다. 하지만 후반 수비가 무너지며 무릎을 꿇었다. 후반 4분 크루스 메디나, 후반 28분 님파샤 베르키마스에게 연속골을 허용하며 1대3으로 패했다.
|
|
한국은 이제 프랑스, 부르키나파소와의 남은 2~3차전에서 사활을 걸어야 했다. 최소 1승1무를 거둬야 했다. 프랑스전에서 비기고, 부르키나파소를 잡는게 최고의 시나리오였다. 하지만 첫 경기에서 보듯 프랑스는 전력면에서 크게 앞서 있다. 무승부 전략을 펼치다 자칫 선제골이라도 내줄 경우, 어린 선수들의 부담이 더욱 커질 수 있다. 한국과 프랑스의 U-17 대표팀간 전적은 3전 전패로 한국의 절대 열세다. 2005년 몬디알 풋볼 몽테규 대회에서 처음 맞붙어 0대3으로 패했던 한국은 2009년 일본 센다이컵 국제청소년축구대회에서도 0대1로 졌다. 가장 최근 대결이었던 2019년 U-17 월드컵에서는 정상빈이 한 골을 넣었지만 3골을 내주며 1대3으로 무릎을 꿇은 바 있다.
|
|
이어 변 감독은 "첫 경기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해 어려운 시작을 하게 됐다. 경기 결과에 따라 여전히 16강 진출 기회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경기 준비에 집중하고 있다"며 "팀 공격력에는 만족한다. 미국전 실점 장면에서 준비했던 수비 원칙을 지키지 못하고 밸런스가 무너졌다. 프랑스전에선 원칙을 잘 지키고 밸런스를 지키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그는 "모든 선수가 다 위협적이다. 개인기량에서 약점이 없다. 공격형 미드필더 사이몬 부아브르, 스트라이커 마티스 람보드처럼 뛰어난 선수들이 포진돼 있다. 수비도 마찬가지"라면서도 "조직력과 체력에서는 우리가 공략할 부분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 부분에서 차이를 만들어 보겠다"고 했다.
|
|
후반 들어 한국의 공격이 더욱 거세졌다. 골운이 따르지 않았다. 후반 13분 백인우가 멋진 돌파로 오른쪽 측면을 뚫었다. 크로스를 올렸다. 달려오던 진태호가 강력한 왼발 발리슛을 시도했다. 골대를 맞고 나왔다. 지난 미국전에 이어 벌써 세번째 골대 불운이었다. 한국은 이창훈과 차제훈을 투입하며 승부수를 뜨웠다. 차제훈은 강력한 슈팅을 때렸지만, 골키퍼 정면으로 향했다. 29분에는 프리킥 상홍에서 강민우가 헤더로 연결했지만, 골대를 벗어났다.
한국은 마지막까지 투혼을 발휘하며, 프랑스를 강하게 몰아붙였다. 하지만 끝내 동점골은 터지지 않았다. 결국 경기는 0대1 한국의 패배로 끝이 났다.
|
|
변 감독은 "경기가 끝난 뒤 프랑스 감독이 우리가 정말 좋은 팀이라고 했다. 남은 경기에서 기회가 있으니 꼭 토너먼트에 진출할 수 있을 거라고 했다"며 "내 생각도 같다. 부르키나파소전에서 감독으로서 책임감을 갖고 이기는 경기를 하겠다"고 필승을 다짐했다. 마지막까지 희망을 놓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
|
현재 3위 팀 중 우즈베키스탄(승점 4), 이란, 일본(이상 승점 6)은 16강을 확정지은 상황이다. 3경기를 다치른 팀 중에는 인도네시아(승점 2)에 머물러 있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3차전을 남겨둔 멕시코(승점 1)와 경쟁해야 했다. 실낱같은 희망은 일찌감치 깨졌다. 한국 경기에 앞선 오후 6시 뉴질랜드와 경기를 치른 멕시코는 4대0 대승을 거뒀다. 멕시코가 이기지 못해야 16강에 도전할 수 있었던 한국 입장에서는 이 경기 결과로 먼저 고개를 숙여야 했다. 애초에 희박한 희망이었다. 멕시코는 뉴질랜드에 비해 전력에서 크게 앞섰다. 뉴질랜드가 초반 멕시코를 밀어붙였지만, 결정력에서 멕시코가 우위에 있었다. 전반 막판 선제골을 시작으로 후반 3골을 추가한 멕시코는 완승으로 16강 진출을 확정지었다.
|
|
|
탈락이 확정된 한국은 전체적으로 발이 무거워 보였다. 점유율에서 크게 앞섰지만, 오히려 슈팅수에서 밀렸다. 선제골도 내줬다. 전반 24분 역습 상황에서 발데 바의 패스를 받은 잭 디아라에게 골을 허용했다. 전반 단 1개의 슈팅 밖에 하지못한 한국은 후반 시작과 함께 배성호(대전), 황은총(신평고)를 투입해 공격에 변화를 줬다. 후반 4분 배성호의 패스를 받은 김명준이 멋진 터닝슛으로 동점골을 만들어냈다. 기세가 오른 한국은 강하게 부르키나파소를 밀어붙였다.
하지만 또 다시 수비가 무너졌다. 41분 술레이마니 알리오의 전진패스를 받은 아부다카르 카마라가 오른발슛으로 결승골을 만들어냈다. 한국은 후반 추가시간 김명준이 다이빙 헤더로 동점골을 노렸지만, 살짝 빗나간 것이 아쉬웠다. 결국 한국은 최종전에서도 1대2로 패하며, 아쉽게 대회를 마무리했다.
박찬준 기자 vanbaste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