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스포츠조선 윤진만 기자]지난달 30일 K리그 외국인 선수 보유 한도 폐지를 골자로 한 한국프로축구연맹의 발표를 접한 축구계 현장의 전반적인 반응은 '올 게 왔다'였다. 연맹은 2025년 제5차 이사회를 통해 '아시아챔피언스리그(ACL)와 주변국 리그의 외국인 선수 보유 확대 추세에 맞춰 K리그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고 최상위리그답게 경기력과 상품성을 제고하는 차원에서 외국인 선수 빗장을 열었다. K리그1은 2026년부터 외인 선수를 무제한 보유할 수 있고, 종전 4명에서 한 명 늘어난 5명의 외국인 선수를 경기에 동시 투입할 수 있다. K리그2는 4명까지 동시 출전이 가능하다. 일본 J리그가 2019년부터 외국인 선수 영입을 무제한 허용했고, ACL은 2024~2025시즌부터 외국인 출전 제한을 완전 철폐한 마당에 K리그의 변화도 불가피했다는 평가다.
|
윤진만 기자 yoonjinman@sportschosun.com





![[SC이슈]"토종 선수들 자리 뺏기는 거 아닌가요?" 빗장 푼 K리그, …](https://www.sportschosun.com/article/html/2025/11/06/2025110601000432100064771.jpg)
![[SC이슈]"토종 선수들 자리 뺏기는 거 아닌가요?" 빗장 푼 K리그, …](https://www.sportschosun.com/article/html/2025/11/06/2025110601000432100064772.jpg)
![[SC이슈]"토종 선수들 자리 뺏기는 거 아닌가요?" 빗장 푼 K리그, …](https://www.sportschosun.com/article/html/2025/11/06/2025110601000432100064773.jpg)
![[SC이슈]"토종 선수들 자리 뺏기는 거 아닌가요?" 빗장 푼 K리그, …](https://www.sportschosun.com/article/html/2025/11/06/2025110601000432100064774.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