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산 담배가 국산 담배의 시장 점유율을 29년 만에 앞질렀다. 국산 담배 판매 규모가 외국산에 뒤진 것은 지난 1986년 필립모리스 '말보로'가 외국산 담배로서 국내에 첫 상륙한 이후 29년 만에 처음이다.
BAT는 2월 4일부터 보그 새 패키지와 켄트 컨버터블의 가격도 국산 주요 담배보다 200원저렴한 4300원에 판매할 예정이다.
1일 편의점 업계에 따르면 A편의점 업체가 지난달(1월 1~29일) 매출 기준으로 담배 제조사별 점유율을 조사한 결과, KT&G는 43.2%를 기록했다. 필립모리스는 24.4%, BAT는 23.4%, JTI는 9%를 기록해 외국산 담배의 시장점유율은 56.8%에 달했다.
금액이 아닌 판매량 기준으로 보면 KT&G의 위축 현상은 더욱 뚜렷하게 드러난다. 지난달 수량 기준 KT&G의 점유율은 38.3%, 외국산은 이 보다 23.4%포인트나 높은 61.7%에 달했다.
B편의점 업체 상황도 마찬가지다. 지난달 매출 기준 KT&G의 점유율은 금액 기준으로 46.2%, 판매량 기준으로는 40.5%를 기록했다.
B편의점의 경우 지난해 12월 점유율 조사에서 KT&G는 매출 기준 53.1%, 판매량 기준 54.5%를 차지하며 1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1월 1일부터 담뱃값이 평균 80%(2000원) 오른 뒤 한 달 만에 점유율이 매출 기준 6.9%포인트, 수량 기준 14%포인트나 급락했다.
A편의점 통계에서도 1월 KT&G의 시장 비중은 지난해 12월과 비교해 11.6%포인트(매출 기준), 18.1%포인트(판매량 기준)가 떨어졌다.
KT&G는 이 같은 현상이 일시적 현상에 그칠 것으로 보고 있다. KT&G 관계자는 "올해 1월은 담뱃값 인상에 따른 금연 인구 증가, 작년 말 담배 사재기, 외국산 담배 저가 공세 등이 겹친 특수하고 일시적 상황"이라며 "특히 외산 담배들이 의사결정 지연으로 지난달 중순께 뒤늦게 가격 인상에 동참한 영향이 크다"고 말했다.
한편 업계 일각에선 외국산 담배업체들의 가격 정책이 흡연자들에게 혼란만 가중한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BAT의 경우 1월 한 달간 보그를 3500원에 판매, 인지도를 높인 뒤 2월 4일부터 4300원으로 인상할 계획을 밝힌 바 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