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진단을 받고 치료한 사람 7명 중 1명이 담배를 계속 피우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 진단을 받고 5년 이상 생존한 사람을 '암 생존자' 또는 '암 경험자'라고 한다. 국내 암 생존자는 2012년 49만여 명이었으며, 현재는 50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된다.
암 생존자 중에서 담배를 계속 피우는 사람들의 특징은 ▲술을 마시고 ▲상대적으로 젊으며 ▲운동을 적게 하고 ▲생업에 종사하는 것 등이었다.
■ '술 권하는 사회'가 암 생존자들 건강 위협
암 생존자 중에서 계속 담배를 피우는 사람들의 73.9%가 술을 마시는 것으로 나타나, 금연한 사람의 음주 비율(46.6%)보다 훨씬 많았다.
연령별로도 20~50대 암 생존자의 금연 비율은 82.3%에 그쳐, 60대 이상 암 생존자 90.2%보다 낮았다.
흡연 중인 암 생존자는 59.1%만 따로 운동을 한다고 답해 금연한 암 생존자의 운동 비율(74.8%)보다 현저하게 낮았다.
직장생활을 하는 암 생존자의 흡연율은 16.7%로 직장생활을 하지 않은 암 생존자의 흡연율 11.1%보다 높았다.
담배를 피우는 암 생존자의 직업은 노동(18.6%)로 가장 많았고, 서비스직(16.3%), 사무직(11.6%) 등의 순이었다.
암 생존자들 중 술과 담배를 계속하는 사람들은 생업에 종사하느라 지속적으로 스트레스에 노출되고, 운동도 제대로 못하고 있는 등 건강관리에 허점이 많았다. 암 생존자들의 필수 행동 수칙은 금연, 금주, 운동, 정기 검진 등이 꼽힌다.
외국의 연구결과를 봐도 암 생존자의 음주와 흡연율은 예상보다 높다.
올해 초 영국 암 저널(British Journal of Cancer)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암 생존자(922명)의 21.4%가 흡연 중이며, 16.4%는 권장 섭취량보다 많이 술을 마시는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암연구회(AACR)가 작년 6월에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암 생존자 2938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암 진단 때 흡연 중이던 암 생존자(409명) 중 67.5%가 여전히 담배를 피우고 있다고 답했다. 또 담배를 피우는 암 생존자(272명)의 53.4%는 금연할 생각이 없거나, 확실치 않다고 답했다.
■ 암 생존자가 흡연하면 재발율 3.5배 높아
술, 담배는 일반인은 물론 암 생존자들의 재발이나 2차 암(다른 암) 발생에 심각한 악영향을 준다. 담배는 폐암, 후두암, 구강암은 물론 위암, 식도암, 췌장암, 자궁경부암, 방광암, 신장암, 대장암, 백혈병 등 여러 암 원인의 20~30%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돼 있다.
송진현 기자 jhsong@sportschosun.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