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규 신경과 원장 "두통 심할 경우 뇌 혈관질환 의심해봐야"

기사입력 2015-06-29 13:30


현대인의 흔한 급/만성 증상으로 꼽히는 두통은 성인 10명 중 8-9명 정도가 평생을 살아가면서 한번 이상 나타난다.

비교적 가벼운 경우에는 과도한 스트레스, 체력저하, 수면문제 등의 원인으로 일시적인 증상일 수가 잇다. 그러나 심각할 수 있는 원인 질환이 있어서 발생한 두통 증상이 상당기간 지속되더라도 중요하게 여기지 않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여러 진료과 중에 '신경과'는 뇌신경계통 질환을 연구, 치료하는 분야로 정신과(정신건강의학과)와의 혼돈을 피하기 위해 '신경내과'라고도 부른다. 특히 뇌, 척수, 말초/척추신경 및 근육 등을 침범, 손상하는 광범위한 모든 장애를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뇌신경과'라고 명명하는 게 더 적절해 보인다.

급/만성 두통의 경우 여러가지 원인이 있는데,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는 경우, 심각할 수 있는 뇌혈관 문제를 의심할 수 있다. 이럴 경우를 포함한 '모든 두통' 증상은 한의원이나 내과가 아닌 '신경과에서' 먼저 진료(검사와 치료)를 받는 게 현명하다.

이에 이태규(뇌리)신경과 이태규 원장은 "국내 뇌졸중 등 뇌혈관질환은 발병률이 꾸준히 지속되고 있으며 암 다음으로 국내에서 사망원인 2위에 이른다. 그런데 여러 암을 대장암, 위암 등으로 세분하면 뇌졸중은 1위의 사망원인이다" 면서 "그러나 두통이 뇌혈관질환(뇌졸중)이나 뇌종양 등의 신호라고 볼 수 있음에도 대수롭지 않게 여겨서 조기 치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종종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정확한 진단과 처방을 받아야 치료가 잘 됨에도 불구하고 두통을 다른 과 질환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아 효과적인 치료에 어려움을 자주 겪고 있는 것이다.

신경과에서는 두통환자의 원인질환 감별진단을 위해 뇌 자기공명영상 촬영(MRI, MRA)이나 뇌혈류 검사, 뇌컴퓨터 단층촬영(CT), 엑스레이, 혈액검사 등을 시행한다. 이중 "머리 MRA"는 "뇌혈관 MR 촬영" 인데 뇌혈관 꽈리나 혈관벽 박리, 혈관 막힘이나 좁아짐(협착) 등 심각할 수 있는 뇌혈관병을 진단하는, 안전하고 정밀한 뇌혈관 촬영이다. MRI, MRA는 CT와는 달리 방사선 노출 우려가 전혀 없다.

중장년층과 노년층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뇌졸중(중풍)의 경우 일단 발병하면 사망, 뇌사, 반신불수, 언어장애 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가 많기에, 예방과 초기 급성기 치료가 매우 중요하고, 합리적인 시스템으로 효율적인 예방적 검사를 자주 받는 것은 더욱 더 중요하다.


두통이나 뇌졸중 등의 진단에 중요한 MRI 등 영상의학적 검사는 규모가 큰 병원에서 받아야 한다고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런 검사는 병원마다 검사비용이 차이가 상당히 나는데 대개 대형병원이 더 비싸다. 더욱이 대형병원을 찾으면 검사결과를 길게는 2주 이상 기다려야 하고, 결과를 듣기까지 3번이나 방문해야 하고, 비용부담도 상대적으로 크다.

극히 최근에 발생한 메르스 사태는 대형병원 응급실과 외래가 전염성 질환 전파의 온상이 된 심각한 문제점을 드러냈다. 즉 두통 치료하러 갔다가 메르스나 결핵 등에 걸릴 큰 위험이 있어서 최근에는 시설을 제대로 갖춘 안전한 개인 전문 진료기관을 찾는 경우가 많다. 강남 논현동에 위치한 이태규 신경과의 경우에도 전문화된 원스톱 진료 시스템을 구축해 1회 방문만으로 검사 및 결과 확인을 대개 한번에 할 수 있다.

이태규 원장은 "두통이나 뇌졸중뿐 아니라 치매나 기억력 장애, 어지럼증, 수면장애, 수전증, 파킨슨 병, 안면마비(구안와사), 손발저림, 실신, 경련이나 간질 등의 많은 뇌신경계 질환은 무엇보다 전문적인 신경과적 검사와 치료가 중요하다"고 전했다.




Copyright (c) 스포츠조선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c) 스포츠조선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