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신입 채용을 진행한 기업 10곳 중 6곳은 30대 지원자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30대 지원자의 성별 비율은 평균 69:31(남성:여성)로, 남성이 여성보다 2배 이상 많았다.
구체적인 기준을 살펴보면, 먼저 남성의 경우 '30세'(25%), '33세 이상'(20.3%), '32세'(17.2%) 등의 순으로 답해 평균 32세로 집계되었다.
여성은 '26세'(21.9%)가 가장 많았고, 뒤이어 '30세'(18.8%), '28세'(12.5%), '32세'(12.5%) 등의 응답이 이어져 평균 29세였다.
상한선이 있는 이유로는 '조직 위계질서가 흔들릴 것 같아서'(37.5%,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다른 직원들이 불편해해서'(34.4%), '조직문화에 적응을 잘 못할 것 같아서'(32.8%), '나이가 많으면 연봉 등 눈도 높을 것 같아서'(21.9%) 등의 답변이 있었다.
실제로 이들 기업 중 절반 이상(53.1%)은 다른 조건과 관계 없이 나이가 많아서 탈락시킨 지원자가 있었다.
그렇다면, 기업에서 생각하는 신입사원의 적정연령은 몇 살일까? 남성은 평균 29세, 여성은 27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체 기업의 63.9%는 최근 신입사원의 평균연령이 '높아지는 추세'라고 답변했다.
신입사원의 평균 연령 상승이 조직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서열, 호칭의 갈등 발생'(38.7%, 복수응답), '신입사원 조기퇴사 및 이직 증가'(29.2%), '연공서열보다 능력중심 문화 정착'(18.9%), '개인주의적 사고 확산'(17.9%) 등을 들어, 부정적인 의견이 더 우세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