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업계가 내년 12월 사용기간이 종료되는 2.1㎓ 대역의 주파수 할당방식을 놓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학술단체들이 관련 세미나를 열고 있어 눈길을 끈다. 주목해야 할 점은 학술단체들의 세미나가 특정업체의 이익을 대변하는 양상을 띄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5월 결합상품 판매로 무선통신 시장지배력이 IPTV 등에 영향을 미칠지 여부를 두고 학계가 SK텔레콤과 반(反) SK텔레콤 진영으로 나뉘어 '대리전'을 펼친 것과 비슷하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후발 사업자를 위한 합리적인 자원 배분과 공정 경쟁을 주장해온 학자들로 2.1㎓ 대역 주파수와 관련해 LG유플러스와 주장과 비슷하다.
업계는 학자들이 2.1㎓ 대역 주파수 할당과 관련해 특정 회사의 이익과 부합하는 이론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과거 결합상품 규제 이슈가 불거졌을 때 서울대 공익산업법센터와 같은 대학교 경쟁법센터는 하루 차이로 세미나를 열어 각각 SK텔레콤과 KT·LG유플러스의 입장을 사실상 대변한 바 있다.
한편 2.1㎓ 대역의 주파수 할당방식을 놓고 SK텔레콤은 기존 이용자 보호를 내세워 주파수 전체를 재할당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LG유플러스는 공정한 경쟁이 이뤄지도록 모두 회수해 경매에 나서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