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자스낵 한 봉지에 하루 기준치의 포화지방 섭취량을 넘기는 제품도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또 '프링글스 오리지널' 이외에 양파맛, 허니버터칩, 구운감자 허니치즈맛 등이 포화지방함량 상위 4개 제품에 포함됐다.
동일 브랜드 내에서 오리지널(짭짤한 맛)과 양파맛(어니언), 달콤한 맛(허니) 제품이 출시되는 7개 브랜드의 나트륨 함량을 비교한 결과, 6개 브랜드가 오리지널 제품보다 양파맛이나 달콤한 맛 제품이 나트륨 함량이 최고 1.8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이번 조사 대상 21개 제품 중 12개(57.1%)는 내용물보다 포장 공간이 더 많은 이른바 '질소과자'인 것으로 드러났다. 현행 과자류 포장 규칙에 따르면, 제과류의 포장 공간은 전체 20.0%, 공기주입방식(질소충전 봉지과자)은 35.0%로 제한된다.
그러나 실제 포장이 차지하는 비율을 살펴보니, 공기주입방식 과자 15개 제품 중 '레이즈 포테이토칩 클래식'은 포장 공간이 최대 46.3%에 달했다. 그 뒤를 농심 '수미칩 허니머스타드'(46.0%),' 수미칩 오리지널'(44.2%), '칩 포테토 사워크림어니언'(40.3%)이 이었다. 오리온의 '스윙칩허니밀크'와 '포카칩' 시리즈 3종의 포장 공간도 36.8∼39.5%였다.
제과류 6개 제품 중에서는 '프링글스 양파맛'의 공간이 기준치의 두 배를 웃도는 41.6%인 것으로 드러났다. '프링글스 오리지널'은 38.6%, 해태제과의 '구운감자'는 31.0%, '구운감자 허니치즈맛'은 28.2%로 뒤를 이었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1차 포장을 기준으로 했을 때 이야기다. 과자를 1차 포장한 봉지와 종이상자 등 2차 포장까지 계산해보면 포장이 차지하는 공간 비율은 훨씬 커지는 제품도 많다.
오리온의 '튀기지 않은 감자칩 예감 오리지널'의 경우 1차 포장의 공간비율은 14.3%에 불과했으나, 최종 포장상자의 공간비율은 49.6%로 나타났다.
소비자시민모임은 "건강한 식생활을 위해 소비자는 섭취용량을 고려한 영양정보 확인이 필요하고, 제조업체는 포화지방 저감화를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된 제품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전상희 기자 nowater@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