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헬스칼럼] 충치가 아닌데도 아픈 상아질 과민증 치료는 어떻게?

기사입력 2015-12-08 10:21


재식(再植)을 받은 경험이 있는 환자가 재식한 치아에 통증이 심하다고 최근 내원했다. 검사를 해보니 재식한 이가 아니라 그 주변의 이가 찬물에 몹시 시리고 찬바람에도 민감하게 반응했다.

이처럼 심한 충치가 없음에도 온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상아질 과민증'이라 한다. 찬 물이나 찬 음식을 먹기 어려운 것은 물론이고 숨만 쉬어도 이가 시린 경우도 있다.

상아질 과민증은 심각한 병적인 상태는 아니지만 환자는 통증으로 괴롭고 의료진의 처치는 간단하지 않아 골치 아픈 증상 중 하나다.

현대의 치의학 수준에서 치과에서 행해지는 상아질 과민증의 치료는 다음과 같다.

①우선 스케일링을 해서 잇몸을 안정시킨다. 필요하다면 스케일링에 추가해서 치주 소파술 등 추가적인 잇몸 치료를 한다.

②잇몸이 안정되면 잇몸과 이 사이의 패인 부분에 지각 과민 처치제를 바르거나 깊이 패인 경우 레진 등을 붙여 민감한 상아질을 보호해 준다.

③지각 과민 처치제 대신에 레이저를 쓰기도 한다.

④교합적인 문제로 인해서 이가 민감해진 경우로 판단되면 교합 조정을 하거나 스플린트를 해 이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막는다.


⑤이의 민감도를 줄여주는 치약을 쓰는 것도 가능하다.

⑥위의 조치를 했음에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고 심해지는 경우 신경치료를 하기도 한다. 그러나 신경 치료는 매우 신중하게, 한정된 경우만 행해야 한다.

⑦상아질 과민증은 충치 치료 시에도 더 증가할 수 있어 치과 의사는 환자가 상당히 민감한 상태인 경우 시간을 갖고 증상을 보아 가며 치료해야 한다.

치료 외에도 상아질 과민증을 초래할 수 있는 습관의 조절도 중요하다. 우선 칫솔질을 옆으로 하거나 거친 칫솔모를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다. 또한 탄산음료 등을 너무 많이 섭취하는 것도 안 좋다. 부득이 탄산음료를 많이 섭취한 경우 물로 헹구어내고 30분 정도 시간이 지난 후 양치질을 하는 것이 낫다.

상아질 과민증은 현재로서는 완전한 해결 방법은 없으므로 담당 치과의사와 좋은 관계를 갖고 꾸준히 관리해 가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글·이호정 서울순치과 원장

Copyright (c) 스포츠조선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c) 스포츠조선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