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의 금융자산 증가세가 둔화됐다. 저금리 속에서 주택거래가 늘어난 상황과 관련 있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1일 통계청·금융감독원·한국은행의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3월 기준으로 전체 가구당 평균 금융자산은 9087만원으로 전년 9013만원보다 0.8% 늘어나는 데 그쳤다. 2011년 17.3%, 2012년 17.9%로 급증하던 금융자산 증가율은 2013년 8.4%, 2014년 2.1%에 이어 지난해 더 감소했다. 지난해 3월 기준으로 직전 1년간 한국은행의 기준금리가 2% 이상인 점에 비춰보면 1년 사이에 기준금리만큼도 늘지 못한 셈이다.
금융자산 가운데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저축·펀드·주식·채권·보험·연금 등 '저축액'은 지난해 가구당 평균 6740만원으로 전년보다 1.0% 증가에 그쳤다. 2011년 21.2%이던 증가율이 2012년 17.6%, 2013년 9.4%, 2014년 3.3%로 둔화하며 가파르게 떨어진 것이다.
기본적으로는 저금리 영향이 크다. 한은 기준금리는 3월 기준으로 2012년 3.25%에서 지난해 1.75%로 떨어졌다. 또한 지난해 주택매매거래량은 119만4000건으로 18.8% 늘어난 것과도 관련이 있다. 내집 장만 자금으로 보유 금융자산을 투입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가구당 소득 증가율도 2.3% 늘어나는 데 그쳤다. 2011년 6.3%, 2012년 5.5%, 2013년 5.8%, 2014년 4.0%와 비교하면 큰 폭의 둔화다. 소득이 쉽게 늘지 않는 점이 금융자산 증가의 발목을 잡았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