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두증 공포’ WHO 지카 바이러스 비상사태 선포 “국제적 공동대응 필요”

최종수정 2016-02-02 08:10

WHO 지카 바이러스 비상사태 선포 ⓒAFPBBNews = News1

세계보건기구(WHO)가 1일(현지시간) 신생아에게 소두증을 유발할 수 있는 지카 바이러스에 대응해 국제 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WHO는 이날 저녁 스위스 제네바 WHO 본부에서 긴급위원회 회의 결과 지카 바이러스가 국제 보건 비상사태에 해당한다고 보고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마거릿 찬 WHO 사무총장은 "모기를 통해 전파되는 지카 바이러스가 신생아 출산에 소두증 등을 유발하는지 결정적인 증거는 아직 없지만 사태의 위협 수준이 매우 심각하다"며 "국제적인 공동대응이 필요한 상태"라고 말했다.

긴급위원회 데이비드 헤이만 위원장도 "지카 바이러스에 의해 신경마비 등의 증세가 나타나는지 아직 증명하기 어렵지만 사태가 확산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면서 "지카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 개발과 치료법 등이 빨리 나오도록 하면서 현재의 확산세를 잡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모기가 옮기는 전염병으로 1947년 우간다의 지카 숲에서 처음 발견된 지카바이러스는 신생아의 두뇌가 충분히 성장하지 못하고 작은 뇌와 머리를 갖고 태어나는 뇌 손상 증세인 소두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브라질을 중심으로 한 중남미 지역이 지카바이러스로부터 직접적으로 위협받고 있다. 2일 현재 중남미에서 이 바이러스가 보고된 나라 또는 지역은 20개를 훌쩍 넘었다.

특히 브라질은 소두증 신생아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브라질이 가장 많은 발병률을 보이고 있으며 콜롬비아가 그다음이다. 또 에콰도르,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아이티, 온두라스, 멕시코, 파라과이, 푸에르토리코, 수리남, 베네수엘라 등지에서도 지카 바이러스가 확인됐다.

한편, WHO가 지카바이러스의 확산을 '국제 보건 비상사태'로 선포한 가운데, 2일 질병관리본부는 각계 전문가를 초청해 서울 중구의 모 식당에서 '지카바이러스 관련 국내 상황 평가 및 대책회의'를 열었다. <스포츠조선닷컴>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