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사 올해 투자 6년전 수준으로 축소…기본료 삭감 폐지 압박 받을 듯

기사입력 2016-02-15 13:48


국내 이동통신 3사가 올해 투자 규모를 6년 전 수준으로 축소할 전망이다. 그동안 통신망 투자를 명분으로 통신요금에서 기본요금을 받아온 이통 3사는 투자도 줄이는데다 기본료 없는 우체국 알뜰폰 요금까지 출시돼 기본료 폐지 압박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15일 이통업계에 따르면 이통 3사는 올해 총 6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이 2조원, KT가 2조5000억원, LG유플러스가 1조5000원을 투자한다. 6조원의 투자규모는 2010년 투자규모와 비슷하다.

이통3사는 지난 2010년 유·무선 네트워크 등에 총 6조505억원을 투자했다. 당시 SK텔레콤이 1조8450억원, KT가 3조572억원, LG유플러스가 1조1483억원을 지출했다.

다만 이통사들이 이런 계획을 실제 실행할지는 미지수다. 매년 투자 약속을 제대로 지키지 않았기 때문이다. SK텔레콤은 지난해 2조원을 투자하겠다고 약속했지만 1조8913억원만 투자했고, KT는 투자계획인 2조7000억원 중 2조3970억원을, LG유플러스는 1조7000억원 중 1조4103억원을 집행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업계 일각에선 기본료를 폐지나 기본료 삭감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 기본료는 통신망 투자비용을 회수하기 위해 책정된 요금이다. 이통 3사는 투자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1인당 1만원 남짓의 기본료가 필수적이라는 입장을 밝혀왔다. 투자금이 줄어든 상황에서 기본료를 고수하는 데는 무리가 따른다. 게다가 기본료를 폐지하면 통신 사업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이통 3사의 완강한 주장은 올해 초 미래창조과학부 우정사업본부가 기본료 없는 알뜰폰 요금제를 출시하면서 설득력이 떨어지게 됐다.

이통업계 한 관계자는 "이통3사가 그동안 통신망 투자를 명분으로 통신요금에서 기본요금을 받아왔지만 최근 투자를 줄인 데다 기본료 없는 우체국 알뜰폰 요금까지 출시된 만큼 기본료 폐지 여론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