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대-기아차, 지난해 친환경차 판매 세계 4위 등극

기사입력 2016-03-08 16:18


현대 아이오닉 EV.



현대·기아차가 지난해 친환경차 시장에서 5위권 메이커 중 유일하게 판매를 늘리며 글로벌 4위 메이커로 등극했다. 친환경차 시장을 주도하는 도요타, 혼다의 판매가 큰 폭으로 줄어든 가운데 거둔 성과라 의미가 크다.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가 7일 발간한 '2015년 친환경차 시장 특징 및 전망'에 따르면 현대·기아차는 쏘나타 하이브리드, 쏘울 전기차의 판매 호조로 포드를 제치고 전체 친환경차 시장 판매 4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현대·기아차는 하이브리드 6만4383대, 전기차 8651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306대, 수소연료전지차 252대 등 총 7만3592대를 판매, 사상 최대 판매 실적을 올렸다. 전년(7만184대) 대비 4.9% 증가한 수치다.

특히 전기차는 전년(1639대)보다 427.8%나 증가, '효자' 노릇을 톡톡히 했다. 이는 2014년 5월 출시된 쏘울 전기차가 서유럽, 미국 등에서 본격적으로 판매된 덕분이다.

메이커별 순위를 살펴보면 도요타는 108만2000대를 판매해 1위를 유지했지만 전년(118만4000대) 대비해서는 8.6% 감소했다. 2위 혼다도 전년(27만3000대)보다 15.4% 줄어든 23만1000대를 팔았다. 3위는 르노·닛산으로 14.2% 감소한 8만1000대를 판매했다. 지난해 4위였던 포드는 21.5% 감소한 6만8000대를 판매해 5위로 밀려났다. 전체적으로 보면 하이브리드 주력 모델에 대한 판매 의존도가 높은 도요타, 혼다, 포드 등 상위업체들은 볼륨모델 노후화에 따른 판매 부진 심화로 점유율이 하락했다.

한편, 글로벌 친환경차 판매는 2.1% 증가하는데 그쳤다. 그동안 각국 정부의 규제 강화와 완성차업체의 공급 확대로 20%가 넘는 높은 성장세를 보여왔지만 지난해에는 199만2000대로, 전년(195만1000대)보다 소폭 늘어났다. 이는 국제유가 하락으로 친환경차 구매 이점이 줄어들고, 프리우스 등 인기모델은 출시된 지 오래됐기 때문이다.

지역별로는 기존 최대 시장인 일본과 미국에서 각각 소비세 인상 여파와 가솔린 가격 하락으로 부진을 보였다. 반면 유럽은 규제 강화와 완성차업체들의 공급 확대로 판매가 40% 증가했다. 중국도 신에너지차에 대한 정부지원 본격화와 합자업체의 라인업 확대로 2배 이상 늘었다.

올해 1월부터 아이오닉 하이브리드 출시를 통해 기선을 잡은 현대·기아차는 제네바 모터쇼에서 아이오닉 3종 풀라인업(하이브리드/전기차/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현대·기아차 최초 친환경 SUV인 니로를 선보이며 공세를 펼치고 있다. 친환경차의 특성을 고려한 전용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작된 아이오닉 하이브리드는 시스템 최대 출력 141ps(5,700rpm), 시스템 최대 토크 27kgf·m(1단), 24kgf·m (2~6단)으로 강력한 동력성능과 함께 연료 효율성을 극대화해 동급 최고 수준의 연비 22.4km/l(15인치 타이어 기준)를 달성했다.


이와함께 현대차는 3월 제주도에서 열리는 전기차 엑스포에서는 전기차인 아이오닉 일렉트릭을 출시, 판매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아이오닉 일렉트릭은 최고출력 120마력(88kW), 최대토크 30.0kgf·m의 강력한 동력성능을 자랑하는 모터를 적용, 최고속도 약 165km/h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며, 1회 충전 주행 가능 거리도 현재 국내 판매중인 전기차 중 최대인 169km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기아차는 이달 말 소형 SUV 니로를 국내에 출시한다. 니로는 국산 최초 하이브리드 SUV로, 최고출력 105ps, 최대토크 147Nm의 하이브리드 전용 1.6리터 카파 GDI 엔진 및 최고출력 44ps(32kW)의 전기모터, 1.56kWh의 배터리를 장착했으며, 하이브리드 전용 6단 DCT(Double Clutch Transmission)를 적용했다.

현대·기아차는 매년 다양한 친환경 신차들을 출시하며 2020년까지 총 26종 이상의 친환경차 라인업을 갖춰, 친환경차 시장 점유율을 10%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경제산업1팀>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