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한국 GDP 대비 가계소득 비율 큰 폭 하락"

기사입력 2016-03-27 15:18


국내총샌상(GDP) 대비 가계소득 비율이 지난 20년간 큰 폭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최근 발간한 구조개혁 중간평가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GDP 대비 가계소득 비율이 1995년 69.6%에서 2014년 64.3%로 5.3% 급락했다. 이 기간 동안 한국의 1인당 GDP가 연평균 3.8% 늘어난 것에 비해 1인당 가계소득이 2.1% 증가하는 데 그친 영향이었다.

하락폭은 OECD 국가 중 두번째일 정도로 가팔랐다. OECD 국가들 중 자료가 있는 30개 회원국 가운데 동기간 79.4%에서 73.6%로 5.8% 떨어진 오스트리아에 이어 두번째였다. 한국에 이어 벨기에(-4.7%), 노르웨이(-4.6%), 이탈리아(-4.3%), 헝가리(-3.6%), 캐나다(-3.4%) 순으로 하락폭이 컸다. 반대로 슬로바키아(9.2%)와 핀란드(5.3%), 일본(3.2%), 미국(3.1%), 스웨덴(2.9%) 등은 GDP대비 가계소득 비율이 상승했다.

GDP 대비 가계소득 비율이 하락한 것은 정부, 기업, 가계로 분배되는 몫 중 가계에 돌아가는 몫이 줄었다는 의미다. OECD는 '가계 대신 기업이 차지하는 몫이 늘어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가계소득은 노동소득과 자본소득, 정부이전소득 등으로 구분되는데, 한국의 GDP 대비 노동소득 비중은 1995년 52.7%에서 2014년 50.7%로 역시 하락했다. GDP 대비 노동소득 비율 하락폭은 포르투갈(-6.5%), 슬로베니아(-4.3%), 일본(-4.0%), 오스트리아(-3.5%) 순으로 컸다.

OECD는 보고서에서 "대다수 국가에서 노동소득 분배율이 하락한 가운데 자본에서 가계부문으로의 소득 재분배율도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부문의 이익 중 가계부문으로 재분배되지 않고 기업부문에 유보되는 비중이 상승했음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이어 "분석결과 GDP 대비 가계소득 비율 변동은 가처분소득 변동의 불평등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 비율이 하락한다면 가계부문의 소득분배는 악화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박종권 기자 jkp@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