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의학 분야에 접목되기 시작한 3D 프린팅 기술이 해부학 실습으로까지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측두골은 사람 머리에서 귀 바로 위에 자리한 관자뼈 주변을 말한다. 의사들이 복잡한 귓속 구조물을 피해 안전하게 수술하려면 측두골의 해부학적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 중이염 수술 등이 대표적이다.
측두골 해부학 실습은 이비인후과 의사가 되기 위한 필수 과정이지만, 시신 기증이 적은 탓에 1년에 겨우 1~2차례 정도만 실습이 가능한 것이 현실이다. 때문에 백 교수팀이 만든 3D 측두골 모델이 향후 측두골 해부학 실습을 대체할 수 있을지 여부도에도 관심이 모아진다.
백정환 삼성서울병원 교수는 "많은 의사들이 충분한 경험을 쌓고 숙련도를 높이면 결국 환자들에게 이득이 될 것"이라며 "측두골 모델 이외에도 다양한 수술적 경험을 쌓을 수 있는 모델들을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개발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이규복 기자 kblee341@sportschosun.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