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유율 10% 한계 부딪힌 알뜰폰…업계 "서비스 질 요구 소비자 늘어"

기사입력 2016-06-07 15:01


저렴한 이용료로 지난해 말부터 인기를 끌던 알뜰폰의 성장세가 정체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말 10%의 시장점유율이 올해 4월까지도 10%를 넘지 못하고 있다.

7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알뜰폰의 올 1∼4월 이동통신시장 점유율은 1월 10.2%, 2월 10.4%, 3·4월 모두 10.5%를 기록했다. 가입자 수도 올해 1월 604만여명, 2월 614만여명, 3월 625만여명, 4월 628만여명 수준을 보였다. 성장이나 정체가 아닌 유지 수준이다.

지난해 말까지만 해도 기존 이통3사의 통신료보다 절반이상 저렴한 요금제로 인해 가입자가 몰렸던 것과는 차이를 보인다.

업계는 최근 가입자 정체 현상이 저렴한 가격에 익숙해진 소비자들이 점차 서비스의 질을 요구하기 시작하면서 시작됐다고 보고 있다. 특히 고객 응대 서비스가 부실하고 음원·동영상 할인과 유선인터넷 결합상품 등 부가혜택이 없다는 것도 한몫 거들고 있는 것이란 분석이다.

이통업계 한 관계자는 "이통3사가 데이터 요금제를 선보이며 전반적으로 전화요금을 낮추고 있고, 다양한 혜택을 내놓고 있다"며 "단순 요금만 내세우는 알뜰폰의 경쟁력이 갈수록 약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알뜰시장의 경우 저렴한 가격에 많은 이용자를 유치해야 수익이 나는 구조"라며 "가입자 성장세가 정체를 보이면 투자여력이 줄고, 서비스 질은 나빠지는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고 전했다.

알뜰폰은 SK텔레콤 등 이통 3사의 통신망을 빌린 별도 사업자가 내놓은 상품으로 2012년 8월 도입, 운영 중이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