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최대주주가 자주 바뀌는 기업일수록 상장폐지나 관리종목 지정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며 해당 기업 주식을 매입할 때 주의해야 한다고 8일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최근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 3년간 최대주주가 변경된 상장사는 394곳(574건)으로, 지난해 말 기준 전체 상장사 2030곳의 19.4%를 차지했다. 특히 최대주주가 바뀐 394곳 중 절반이 넘는 51.3%(202곳)가 상장폐지, 관리종목 지정, 당기순손실 또는 자본잠식률 50% 이상 발생, 횡령·배임 사건 등을 겪었다.
신규 최대주주 평균 지분율은 최대주주가 바뀐 횟수에 따라 1회는 34.8%, 2회는 27.4%, 3회 이상은 17.4%로 집계됐다. 최대주주 변동이 잦을수록 최대주주의 평균 지분율이 낮아졌다는 얘기다. 금감원 측은 "최대주주 변경이 잦은 회사는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경영이 어렵고, 재무구조 악화 등으로 상장폐지에 이를 위험이 크기 때문에 투자를 할 경우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