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디젤차 배출가스 조작 사태를 불러온 폭스바겐 그룹이 독일내 리콜 계획은 밝히면서 다른 국가에 대한 리콜 언급은 하지 않아 한국 소유주들의 공분을 사고 있다.
이날 마티아스 뮬러 폭스바겐 그룹 회장은 "투자자들의 믿음을 저버린 디젤스캔들이 발생해 대단히 죄송하다"며 말문을 열었다.
지난해 9월 처음 디젤차 배출가스 조작 사태가 발생한 폭스바겐 그룹은 9개월이 지난 현재 주식가치가 약 20% 정도 하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현재까지 독일 교통부로부터 파사트, 티구안, 골프, 아우디 A3, A4, Q5 등 370만대가 넘는 차량에 대한 리콜 계획을 승인받았다"면서 "리콜이 속도 있게 진행되면서 조만간 수천명의 차량 소유주에게 리콜 통지가 전달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이미 벌어진 일은 돌이킬 수 없다. 현재 가장 중요한 것은 고객을 위한 최선의 해결 방안을 찾고 발생 원인을 체계적으로 조사하는 것과 더불어 이런 일이 재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폭스바겐 그룹은 그동안 자체적으로 하던 차량 배출가스 시험을 앞으로 외부의 독립적인 제3자의 평가에 맡기고 무작위로 차량을 추출해 실제 도로 주행 시험을 하겠다고 전했다.
아울러 뮬러 회장은 "2025년까지 30개의 전기차 모델을 개발, 생산하겠다"는 목표도 주주들에게 역설했다.
그런데 이날 주주총회에서 독일·미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의 배상이나 리콜 계획이 언급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폭스바겐 그룹의 한국 법인인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도 지난 7일 환경부로부터 세 번째 리콜 계획을 퇴짜 받은 이후 국내의 문제 차량을 어떻게 할지 추가 계획을 내놓지 않았다. 또한 검찰이 연비 조작 수사에 착수한 이후로는 아예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내 소유주들은 폭스바겐이 미국 고객과 같은 배상을 한국 고객에게도 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폭스바겐코리아는 미국과 한국은 관련 규제와 판매 차량이 달라서 단순 비교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에따라 오는 28일 공개될 폭스바겐과 미국 정부와의 합의안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국 정부와의 합의 내용이 공개되면 국내에서도 비슷한 수준의 배상을 해달라는 국내 소비자 요구가 잇따를 것으로 전망된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