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박혜숙(이화여대의대 예방의학교실)·이원경(인하대병원 예방관리과) 교수팀은 1991년부터 2012년까지 서울과 부산에서 폭염이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국제학술지인 대한의학회지(JKMS) 최근호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조사 기간을 4개의 구간(1991~1995년, 1996~2000년, 2001~2005년, 2006~2012년)으로 나눠 서울과 부산 두 도시에서 폭염이 사망에 미친 영향을 분석했다.
이 결과 서울에서는 폭염이 발생했던 해에 임계점(29.2도) 이상에서 기온이 1도 더 오르면 사망률이 15.9% 높아졌고, 부산은 아예 폭염과 사망률에 이런 상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기온이 상승하면 혈압이 떨어지고 수분이 소실돼 혈액순환에 심각한 장애가 생기기 때문에, 폭염은 뇌졸중 위험도 등을 높인다.
이에 전문가들은 폭염이 주로 발생하는 시간대에 야외 활동을 삼가하길 권고했다. <스포츠조선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