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감정' 장애 중년층… 조울증 환자 40%
갑자기 기뻤다가 다시 우울해지는 등 감정이 극단적으로 변화하는 조울증 환자의 40%가 40∼50대 중년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양극성 장애'라고도 불리는 조울증은 극단적인 감정변화로 인해 예측 불가능한 돌발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아 주의의 관심이 필요한 질병이다.
조울증 진료 환자는 2011년 약 6만7000명에서 매년 평균 8.4% 증가해 2015년 약 9만2000명으로 늘었다. 비용도 2011년 약 921억원에서 매년 평균 5.7%씩 증가해 2015년에는 약 1150억원이 진료와 치료로 건강보험료에서 빠져나간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조증 증상으로는 ▲피곤함을 잘 느끼지 않는다 ▲말과 생각의 속도가 빨라진다 ▲에너지가 넘쳐 정신적인 활동이 활발해진다 ▲쉽게 짜증을 내거나 공격적인 행동을 한다 ▲충동적이 되며 주변 일에 쉽게 끌린다 등이다. 울증 증상은 ▲이유 없이 슬픔에 잠겨있거나 눈물을 흘린다 ▲식욕이나 수면습관의 변화가 생긴다 ▲자주 짜증, 화, 걱정, 불안 등의 감정을 보인다 ▲매사에 관심이 없어지고 사회생활이 줄어든다 ▲기운이 없고 이유 없이 아프다 등이다.
조울증 치료는 약물 처방과 함께 돌발행동으로 발생하는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입원치료를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오랜 치료가 필요한 만큼 주위에서 환자에게 긍정적인 마음을 갖도록 도와줘야 한다. 음주나 부적절한 약물복용은 상태를 더 악화시킬 수 있다.
심평원은 "조울증은 우울증보다 비교적 젊은 나이에 발병한다"며 "사회적 편견으로 진료를 기피해 심각한 상황에 이를 수 있으므로 주위의 관심과 적극적인 치료 권유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규복 기자 kblee341@sportschosun.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