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은행은 29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전세가율)이 2013년 4월 이후 상승세를 이어오다 이번 달 3년 5개월 만에 0.1%포인트 하락한 75.4%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서울 강북 지역의 경우 전세가율이 서울 평균(74.2%)을 웃도는 78.1%로 높게 조사됐고, 강남 지역은 지난달 보다 0.5%포인트 하락한 70.8%로 나타났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전월대비 전세가율이 하락한 곳은 15개 구로 조사됐다. 특히, 강서구는 8월 77.1%에서 9월 76.2%로 0.9%포인트 하락해 전세가율 하락이 두드러졌다. 강남구도 전월대비 0.8%포인트, 송파구 0.6%포인트, 서초구 0.6%포인트 각각 하락했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월대비 0.15% 상승하며 완만한 상승세가 지속됐다. 서울은 전월대비 0.44% 상승했지만 지난 30년간 9월의 평균 상승률인 0.71%에는 미치지 못했다. 수도권도 전월대비 0.28% 올랐다. 지방 5개 광역시의 경우는 전월대비 0.03% 상승하며 30년간 9월 평균 상승률인 0.36%에 미치지 못했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도 전월대비 0.10% 올랐다. 서울의 경우 전월대비 0.19% 상승했지만 30년간 9월의 평균 상승률인 1.81%보다 크게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은 전월대비 0.17%, 지방 5개 광역시는 전월대비 0.03% 상승했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저금리 기조로 인한 풍부한 유동성이 신규 분양시장의 수요층을 두텁게 했다"며 "강남권 재건축 훈풍의 영향으로 서울 지역 재건축 예정단지들에 대한 매수 문의도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규복 기자 kblee341@sportschosun.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