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뇌졸중으로 병원 신세를 졌던 65세 김 모씨는 퇴원 후에도 음식을 먹고 삼키는 일이 쉽지 않아 병원을 다시 찾았다. 물을 조금만 빠르게 먹어도 사레가 걸리고 평소 쉽게 먹었던 음식들도 조금만 크면 삼키기가 너무 버거웠다. 이는 뇌졸중으로 인해 삼킴곤란 증상까지 얻게 된 것. 하지만 비디오투시검사를 통한 정확한 진단과 적극적인 재활 치료를 통해 증상을 극복해 나가고 있다.
삼킴곤란은 물을 마시거나 음식을 삼키는 행위에 문제가 생기는 증상이다. 음식을 삼키는 과정은 구강-인두-식도 단계로 이뤄지는데 뇌에서 이 부분을 관장하는 연수(간뇌)와 그 주위 조직에 손상이 생기면 삼킴곤란이 발생한다. 원인질환으로는 뇌졸중이나 파킨슨병, 신경근육질환 등 노인성 신경계질환이 흔하다. 유승돈 교수는 "증상이 있는데도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흡인성 폐렴이나 영양실조, 탈수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고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면서 "먼저 원인 질환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선행되고, 이와 함께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적극적인 재활 치료가 꼭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뇌졸중·파킨슨병이 연수마비 유발하는 대표질환
작은 숟가락(3㏄)에 담은 물을 마시고 사레나 쉰 목소리 없이 삼켜야 정상
먼저 음식물 없이 반복적으로 빨리 침을 삼키는 것으로 기능을 확인하는데 30초 동안 3번 이상 적절히 삼킬 수 있으면 삼킴곤란이 가볍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작은 숟가락(3㏄)에 담은 물을 마시고 사레 증상이 있는지 호흡이 변화되는지 삼킨 후에 쉰 목소리가 나는지를 평가한다. 5초 안에 사레 없이 삼킬 수 있다면 정상이라 할 수 있으며 삼킨 후 '아' 소리를 내게 하여 물에 젖은 목소리가 나는지를 확인하고 호흡에 이상이 있는지도 관찰해야 한다. 삼킴곤란이 의심되면 어느 단계에서 증상이 발생하는지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비디오투시삼킴검사를 실시한다. 삼킴곤란 증상이 최근에 갑자기 시작됐다면 뇌졸중이 가장 흔한 원인질환이며, 발생 시기를 알기 어렵고 서서히 진행됐다면 다른 신경계 질환도 의심해봐야 한다.
비디오 투시 삼킴검사로 체계적인 삼킴 재활치료
비디오투시삼킴검사를 통해 어느 단계에서 삼킴곤란이 발생하는지 파악하고, 앞으로 어떤 식사를 제공할지, 어떤 자세와 재활훈련법을 교육할지 계획을 수립한다. 재활치료는 먼저 다양한 점도의 음식물(푸딩, 요플레, 걸쭉한 토마토 주스, 밥)을 제공하여, 폐로 넘어가지 않고 인두 내에 잔류물이 남지 않는 음식물이 무슨 종류인지 확인하며 실제로 먹을 수 있도록 훈련한다. 이와 함께 구강의 씹는 동작을 훈련하고 인두의 근육을 강화해 흡인이 잘 생기지 않도록 하는 삼킴재활 훈련을 한다. 이때 삼킨 음식물이 식도가 아닌 기도로 들어가지 않도록 고개를 앞쪽으로 숙이고 턱을 당긴 채로 삼키도록 자세 교정도 함께 진행한다. 이런 방법에도 폐렴 발생 가능성이 큰 경우 튜브(일명 콧줄)나 위루관영양(일명 뱃줄)을 이용한 식사를 하도록 권유할 수 있다.
유 교수는 "삼킴곤란은 뇌졸중의 경우 일정기간이 지나면 호전되지만 파킨슨병의 경우 운동 증상이 발생하면 삼킴 기능과 발음기능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조기발견과 폐렴 예방을 위해 정기적으로 삼킴검사와 발음평가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면서 "음식물을 삼키기 어렵거나 오래 걸리고, 가래와 기침이 늘거나 발음이 나빠지는 등 관련 증상이 있다면 즉시 병원을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2020 신년운세 보러가기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