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중 921g의 초미숙아가 중앙대병원 의료진에 의해 위험한 순간을 무사히 넘기고 퇴원하게 됐다.
이들 부부는 어렵게 얻은 세 번째 아이만은 또 그렇게 황망하게 보낼 수 없어 한국행을 결심했다. 그 동안 몽골에서 모은 돈 2000만원을 들고 한국으로 온 철먼씨 부부는 중앙대병원에서 28주 2일 만에 아이를 출산했고, 아이는 신생아 중환자실을 거쳐 신생아실에서 지내다 지난 20일 건강하게 퇴원했다.
부부는 아이를 무사히 출산했지만 의료보험 혜택을 받지 못하다 보니 매일 늘어가는 중환자실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웠다. 이들은 모국에서 치료를 받을 수 없는 환아를 도와주는 독일 재단 '아이들을 위한 마음(Ein herz fuer kinder)'에 직접 도움을 요청해 금액을 일부 지원받았지만, 그걸로는 현재까지 발생한 진료비 1억여 원을 충당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했다.
또한, 병원비뿐만 아니라 이들 부부에게는 비자 문제가 걸려있었다. 철먼 씨 부부는 출산을 위해 한국으로 입국한 의료관광비자 신분으로 체류 가능기간인 3개월이 지나면 불법체류자 신분으로 강제추방 대상이 된다. 철먼 씨의 출산부터 현재까지 그녀와 소통하고 있는 중앙대병원 국제진료센터가 이들을 위해 출입국사무소 등과 지속적으로 연락하였고, 현재 출입국사무소에서도 환아의 안타까운 사정을 참작하고 외국인등록증 발급을 긍정적으로 검토 중에 있다.
신후와 같은 초미숙아의 경우 생후 1주일 이내 뇌출혈이나 폐출혈의 발생 및 사망 위험성이 높은데 신후는 이러한 합병증 없이 잘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성장장애, 발달장애 및 청각장애, 시력손상 발생 우려가 높기에 외과, 이비인후과, 안과, 재활의학과 등의 다양한 진료과와 협진을 통해 혹시나 발생할 수 있는 후유증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퇴원 후에도 이러한 부분에 대한 면밀한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중앙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수영 교수는 "신후는 고위험군에 속하는 초미숙아·초극소 저체중 출생아로 출생 직후 호흡곤란 증후군으로 폐표면 활성제를 투여하고 기관지 폐이형성증 및 무호흡으로 장기간 호흡 보조 및 산소 치료를 받았다"며, "미숙아는 경구 수유를 할 수 있는 능력이 없어 초반에는 중심 정맥관으로 영양 수액을 주면서 키웠고, 이후 입에서 위까지 넣은 튜브를 통해 모유를 먹이며 케어해 체중도 늘고 몸 상태도 좋아져 퇴원이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아이와 헤어질 수 있다는 불안과 진료비 걱정에 우울증까지 겪었다고 말하는 철먼 씨는 "꿈처럼 우리에게 온 아이를 먼 이국땅에서 소중히 보살펴 주고 우리 가족에게 희망과 도움을 준 중앙대병원과 의료진에게 진심으로 감사하다"며, "아이의 치료가 끝나면 고국으로 돌아가 한국에서 받은 사랑을 기억하며 몸과 마음이 건강한 아이로 키워 나눔을 실천하는 사람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2020 신년운세 보러가기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