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얼마 전부터 이가 시려 병원을 찾은 60대 여성 P씨는 골다공증 약을 복용하고 있어 치과 치료를 선뜻 받기가 겁이 났다.
골다공증은 뼈의 강도가 약해져 뼈가 쉽게 부러지게 되는 질환으로, 나이가 들어 뼈가 약해지거나 여성의 경우 폐경 이후 호르몬 변화에 의해 더욱 발병하기 쉽다. 골다공증이 있는 여성의 경우, 치료하지 않으면 골다공증에 의한 골절로 사망할 확률이 유방암에 걸려 사망할 확률과 비슷하다는 통계가 있을 정도로 골다공증은 사망까지 이를 수 있는 위험한 질환으로 분류되고 있어, 이를 진단 받으면 약물치료를 시작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골다공증 약을 복용하거나 주사 치료를 받는 사람이 치과 치료를 받으면 턱뼈가 괴사될 수 있다는 보고가 2000년대 초부터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골다공증 치료중인 환자들이 치과 치료를 꺼려하고 있는데, 이는 모든 골다공증 환자에게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것이 아니며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해당 제제는 뼈를 흡수하는 파골 세포를 방해하는데, 이때 발치나 임플란트로 인해 턱뼈에 상처가 나면 뼈 괴사가 시작될 가능성이 있다. 4년보다 짧게 사용한 경우에도 발병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조심할 필요가 있다. 발치나 임플란트가 꼭 필요한 환자라면 치료 전 다른 성분의 약물로 변경하거나 일정 기간 약물을 중단하는 것도 방법이며, 턱뼈에 상처를 적게 주는 치료법도 고려한다. 약물의 변경 또는 중단은 처방하는 의료진과 치과의사와의 협의 하에 이뤄지는 것이 좋다.
박관수 교수는 "턱뼈를 건드리지 않는 일반 치과 시술이나 스케일링 등은 골다공증 약물 치료중인 환자라도 문제없이 치료 받을 수 있고 수술을 동반하는 치과 치료도 검사 후 적절한 상태라면 가능하다"며, "골다공증 약물 관련 턱뼈 괴사증에 경험이 많은 치과의사와 상의해 환자의 상황에 적합한 최선의 치료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