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행이나 산책 등 활동적인 일을 좋아하는 40대 직장인 A씨는 최근 계속 발목 부분에 통증을 느꼈다. 문제는 A씨는 최근에 코로나 19로 집에만 있느라 외부활동을 전혀 못했다는 것이다. 출퇴근을 하긴 했지만 대부분 차로 이동해서 무리가 갈 것도 없었다. 계속되는 통증에 어쩔 수 없이 병원을 찾은 A씨는 의사로부터 '혹시 등산을 좋아하냐'는 질문을 받았다.
A씨는 5~6년 전 비 때문에 축축한 산을 오르다 미끄러진 기억이 떠올랐다. A씨는 그 사실을 말했고 의사는 '발목 충돌 증후군인 것 같다'고 말했다.
A씨처럼 일상생활에서 발목을 접질리거나 다치는 것은 흔한 일이다. 특히 활동적인 사람에게는 더욱 빈번하다. 하지만 함정은 여기에 있다. 우리 일상에서 쉽게 일어나는 일이기에 다들 다쳐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한다는 점이다. 며칠, 혹은 몇 주만 참으면 붓기가 가라앉고 상태가 호전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렇게 회복된 것은 제대로 회복된 게 아니다. 제대로 치료받지 못한 발목은 이전보다 약한 충격에도 삔다. 그러다 만성적으로 통증이 이어진다.
족부 특화 병원인 연세건우병원의 박의현 병원장은 "외상이 없는데 발목통증이 계속된다면 발목연골손상이나 충돌증후군일 가능성이 높다"면서 "이런 환자들을 진료하다 보면 과거에도 4~5번 발목염좌를 겪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염좌를 경시하다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 상황에 놓이게 된 것"이라 설명했다.
박 병원장은 "만약 최근 발목을 다친 적이 없는데 지속되는 발목통증이 있다면 되도록 빨리 병원에 가야 한다. 외상 경험이 없음에도 발목통증이 계속되는 경우, 발목충돌증후군과 발목연골손상 확진 확률이 80%를 넘어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발목을 다쳤을 때 바로 병원을 가는 것이지만 이미 발목충돌증후군이나 발목연골손상이 온 경우에는 예방의 의미가 떨어진다. 이때는 치료를 해야 한다"면서 "두 질환은 중증 족부질환에 속하지만 초기에 병원을 찾는다면 비절개 내시경수술이 가능하기 때문에 긴 입원기간 및 재활 부담 없이 수술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