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남성 난임환자가 최근 10년 사이 1.4배 늘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또한 30대의 경우 해가 지날수록 30~34세보다 35~39세 남성 난임 환자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고, 40대는 40~44세 남성난임 환자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를 보였다.
미즈메디병원 비뇨의학과 김기영 주임과장은 "결혼과 출산연령이 높아지면서 남성 난임 환자의 연령대 역시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며 "이런 추세로는 10년 후에는 30대보다 40대 남성 난임 환자가 더 많아질 수도 있다"고 조심스럽게 전망했다. 이어 "남성난임은 무정자증, 정계정맥류, 호르몬분비이상, 환경호르몬 노출, 흡연, 음주, 스트레스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고 원인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지므로 검사를 통해 정확하게 원인을 파악하고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계정맥류나 정자이동통로가 막힌 폐쇄성 무정자증이 원인이라면 현미경 수술로 교정하고 수술적 교정이 불가능한 폐쇄성 무정자증과 고환기능 문제로 인한비폐쇄성 무정자증의 경우 고환에서 정자를 추출해 체외수정을 통해 임신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또한 "정자가 만들어져서 외부로 나오는데 약 3개월이 걸리기 때문에 아빠의 경우 생활습관개선 등을 통해 정자의 질적 또는 양적 개선을 기대하려면 적어도 3개월 이상의 임신준비기간이 필요하고, 건강한 임신을 위해서는 부부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