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10대 이하 미성년자 주택구입 '급증'…"편법증여 등 검증 강화 필요"

김세형 기자

기사입력 2021-10-17 12:02 | 최종수정 2021-10-17 12:02


최근 3년 사이 19세 이하 미성년자의 주택 구입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부모 찬스'를 이용, 부의 대물림에 따른 자산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7일 김회재 더불어민주당(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의원이 한국부동산원으로부터 받은 '연령대별 주택 구입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올해 8월까지 10대 이하(1∼19세)의 주택 구입 건수는 2006건이다. 거래금액은 총 3541억원으로 집계됐다.

부동산원은 2019년부터 주택매매거래현황을 연령대별로 구분해 발표하고 있다. 다만 10대 이하(1∼19세) 현황은 따로 공개하지 않고 20대 이하(1∼29세)에 포함시켜 공개한다.

10대 이하의 주택 구입은 2019년 332건에서 지난해 728건으로 2.2배 증가한 데 이어 올해는 8월까지 946건으로, 지난해 전체 거래량을 넘어섰다. 올해 8월까지 거래 건수는 작년의 1.3배, 재작년의 2.8배에 달한다. 10대 이하의 주택매매금액도 2019년 638억원에서 지난해 1354억원으로 2.1배 늘었고, 올해는 8월까지 1549억원을 기록하며 지난해 전체 거래금액을 뛰어넘었다.

국토부의 주택자금 조달계획서를 보면 만 10세 미만 주택 구입자의 59.8%가 증여로 주택자금을 조달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게 김 의원의 설명이다. 김 의원은 "부동산 자산 대물림으로 인생의 출발선부터 자산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며 "미성년자 편법증여에 대한 검증을 강화하고 부동산 감독기구를 조속히 설치해 불법투기 등을 걸러내야 한다"고 말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