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한국인들의 못말리는 커피 사랑…지난해 커피 수입액, 처음으로 1조원 돌파

최종수정 2022-03-21 07:35

지난해 커피 수입액이 사상 처음으로 1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조사됐다. 커피음료점은 4년 만에 두배 가까이로 증가했다. 이는 편의점보다 70% 이상 많고 PC방보다는 약 9배 많은 수준이다.

21일 관세청과 식품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커피 수입액은 전년보다 24.2% 증가한 9억1648만달러로 집계돼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지난해 원/달러 평균환율이 1144.42원인 것을 고려하면 약 1조488억원 수준이다.

커피 수입액은 커피 껍질과 커피를 함유한 커피 대용물 등을 모두 합한 것이다.

커피 수입액은 그간 꾸준히 늘었다. 지난해 수입액은 20년 전인 2001년(7225만달러)과 비교하면 12.7배에 달한다. 작년 커피 수입량은 전년보다 7.3% 증가한 18만9502t(톤)으로, 이 역시 사상 최대였다.

국내에서 커피 수입이 꾸준히 늘어나는 것은 커피가 단순 기호식품을 넘어 문화생활의 한 부분으로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커피음료점 증가세를 통해서도 손쉽게 알 수 있다.

국세청의 100대 생활업종 통계에 따른 지난해 12월 기준 커피음료점은 8만3363개다. 이는 편의점(4만8458개), 패스트푸드점(4만6371개), 화장품가게(3만6975개), 노래방(2만7713개), 중식전문점(2만6632개), 호프전문점(2만6469개), 휴대전화가게(1만9155개), 헬스클럽(1만52개), PC방(9265개) 등보다 많은 것이다.

한편 공정거래위원회의 가맹사업 정보제공시스템에 따른 2019년 말 기준 커피 프랜차이즈 가운데 가맹점이 가장 많은 곳은 이디야커피(2651개)였다. 다음으로 투썸플레이스(1097개), 메가MGC커피(798개), 커피에반하다(688개) 등 순이었다. 요거프레소(656개), 빽다방(617개), 커피베이(597개), 엔제리너스(483개), 파스꾸찌(460개), 할리스커피(453개), 컴포즈커피(384개), 더벤티(381개), 카페베네(314개), 탐앤탐스커피(301개) 등의 매장 수도 300개를 웃돌았다. 다만 공정위 정보 공시에 외국계는 포함되지 않았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