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불평등 지수가 다소 완화되는 동안에도 소득 수준에 따라 거주지가 달라지는 '거주지 분리' 정도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국토정책Brief 제928호 '소득불평등과 거주지 분리의 특성 및 변화: '서울의 달'에서 '펜트하우스'까지'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시군구 평균 소득지니계수는 2017년 0.514에서 2021년 0.470으로 다소 줄었다. 소득불평등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소득지니계수는 0에 가까울수록 평등하고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하다는 뜻으로, 4년 간 소득불평등은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보다 고소득층 거주지의 분리가 이같은 변화를 주도했다는 분석이다.
국토연구원 관계자는 "최근 고소득층 중심의 거주지 분리 현상을 토대로 공공성을 띤 도시요소를 누구나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도시계획적 측면에서의 예방적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면서, "적절한 규모의 다양한 주택 공급, 특정 학군지 편중 예방을 위한 균형 잡힌 양질의 교육 제공 등 거주지 분리를 완화할 수 있는 방안도 지속적으로 논의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