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 산하 홈쇼핑업체인 '공영홈쇼핑'이 대표이사 부친상에 직원을 대거 동원하고, 회삿돈으로 출장비까지 지급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논란에 휩싸였다.
조성호 대표이사는 지난 2월 열린 개국 8주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기본으로 돌아가 공공기관 홈쇼 '공정·상생·소비자의 가치'를 이루는데 주력하고, 10년을 향하는 도약의 해를 만들어 가겠다"고 언급한 바 있으나, 해당 공약은 6개월여 만에 무색하게 됐다.
최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권명호 국민의힘 의원이 공영홈쇼핑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5월 조성호 대표 부친상 장례식 참석을 위해 직원 40명이 출장 목적으로 대구를 찾았다. 직원들은 모두 조 대표의 장례식장에 업무 시간 도중 방문을 했다. 신발과 화환 정리, 조문객 동선 안내, 운구 등을 도맡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행위는 공영홈쇼핑의 기존 장례 지원 제도나 틀을 넘어선 것으로 관측된다.
공영홈쇼핑이 권명호 의원실에 제출한 '내부 임직원 장례지원 기준'에 따르면, 임직원 장례 시 3인 이내의 장례지원팀만을 구성해 지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장례지원팀 외의 임원이나 소속 본부장이 조문을 할 경우, 소요된 이동 여비만을 지급받을 수 있다.
하지만 공영홈쇼핑은 대표 부친상 장례에 참석한 직원들에게 교통비 외에 일·식비, 숙박비 등을 함께 지급했다. 내부 규정 수준보다 과한 장례 지원이 이뤄진 것.
이와 관련, 이들의 출장 신청과 출장비 지급의 부적절함에 대해 지적하는 사내 게시판 글이 등장하면서 일이 커졌다. 이번 논란과 관련, 익명의 한 직원은 "직원들 경조사에도 출장 처리를 해줄 거냐"는 내용의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
다른 관계자 역시 "자진해서 간 조문에 식비와 숙박비를 왜 지급해야 되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실제 출장비 지급과 관련해 어느 선에서 결재 승인 허가가 이뤄졌는지에 대해 문의했으나, 공영홈쇼핑 측은 내부 기밀 사안이라 밝히기 어렵다는 입장만을 전했다.
권 의원은 이번 논란에 대해 "공익 가치를 실현해야 할 공영홈쇼핑이 '개인홈쇼핑'으로 전락했다"면서 "이번 사건은 직장 내 괴롭힘을 금지하는 근로기준법 76조 위배 소지가 있으며, 관련해 중소벤처기업부 차원의 전수조사 요청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공영홈쇼핑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자발적으로 조문에 참여한 직원들에게 지급했던 출장비는 환수 조처한 상태"라면서 "회사 차원에서 별도로 드릴 말씀은 없다"고 말했다.
▶공공기관 이미지 무색해지고 영업이익 내리막…조성호 대표, 위기 타개 가능할까
이번 논란으로 공공기관인 공영홈쇼핑에 대한 대내외적 이미지는 대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공영홈쇼핑은 실적 정상화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영업이익 역시 지속적으로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공영홈쇼핑은 지난 2020년 218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린 바 있으나 2021년 147억원, 지난해에는 148억원에 그쳤고,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255억에서 134억원, 129억원으로 줄었다.
조 대표는 올해 초 취급액 1조1000억원, 영업이익 160억을 목표로 제시한 바 있지만, 실제 실현될 가능성이 매우 낮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홈쇼핑업계 관계자는 "공영홈쇼핑은 소상공인 판로 확대 지원을 위해 연간 2000억원 이상의 예산이 투입되고 있지만 실적 정상화를 이룩하기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